인천해관문서·삼강행실도 ‘서울시 문화재’ 지정
개항 초기 서해안 해관(항구에 설치한 세관) 운영의 모습을 보여주는 <인천해관문서>와 조선 세종 때의 도덕서인 <삼강행실도>가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된다.
4일 서울시는 지난 10월25일 열린 시 문화재위원회에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돼 있는 해관 자료가 1885년 이후의 것인데 비해 <인천해관문서>는 우리나라 해관 초창기인 1883년 1월부터 직원들이 육필로 쓴 문서로서 보존가치가 높다’고 평가돼, 5일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94호로 지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 ‘천축사 비로자나삼신불도’, ‘천축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등 3점도 서울시 유형문화재에 지정돼 서울시 유형문화재는 모두 294건으로 늘어나게 된다.
<인천해관문서>에는 인천 해관의 초대 세무사였던 스트리플링이 당시 인천 해관의 총세무사이자 오늘날 외무부 차관에 해당하는 조선국 외무협판이던 묄렌도르프에게 보고한 문서가 포함돼 있다. 또 인천 해관에서 외부로 발송한 문서, 해관 직원이 해관장에게 보고한 문서 등 1883년 인천 해관 설립부터 1885년 9월까지의 인천 해관 업무처리와 관련된 문서 121건이 수록돼 있다. 특히 서해안의 항만을 측량한 지도, 부산·인천·원산 등의 기후를 월별로 관찰한 서류, 전라도 쌀 교역 실태, 은괴 징수 현황 등이 자세히 기록돼 있어 1880년대 중반의 경제사·외교사·해운사·기후사 등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한편 시는 조선 세종 때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 등 3강(三綱)의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행적을 엮은 <삼강행실도>는 11월5일부터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12월께 유형문화재로 최종 고시할 계획이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