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곳중 40곳 장부관리 엉망
수입·지출도 상세히 안밝혀
수입·지출도 상세히 안밝혀
대구시내 ㅊ종합사회복지관은 직원 15명이 근무하면서 저소득층 시민들을 상대로 복지활동을 펼친다. 하루 평균 200∼300여명의 시민들이 찾아와 무료급식과 상담 등을 받고 돌아간다. 이곳에 연간 6억원이 넘는 예산이 지원되지만 예산을 어떤 명복으로 얼마를 썼는지 명쾌하게 알 수 있는 장부 정리를 해놓지 않았다. 정부 보조금과 후원금, 시설 부담금 등 복지관에 들어오는 돈을 항목별로 구분하지도 않고 일괄 계산해 놓아 과연 돈을 제대로 썼는지 의심을 살 수도 있을 만큼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최근 종합복지관과 대규모 복지시설 등 45곳을 조사해 봤더니, 90%에 가까운 40곳에서 이 복지관과 비슷하게 장부 정리를 제대로 해놓지 않았다고 2일 밝혔다. ㄴ복지관은 후원금 수입과 지출 내역을 구체적으로 밝혀 놓지 않았으며, ㄷ복지관에서는 복지법인과 복지시설의 은행계좌가 같아 외부에서 보면 예산을 유용했다는 의혹을 살 수도 있게 해놓았다.
조사를 맡은 대구시 복지옴부즈만 김현익 변호사는 “종합복지관에서 돈이 얼마나 들어왔으며, 이 돈을 어디에 사용했는지 제대로 기록돼 있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고 충격을 받았다”며 “형식적이고 기초적인 회계업무 처리가 안 되고 있는 마당에 복지 업무가 제대로 될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더우기 복지시설을 감독해야 할 구청에서도 관리가 허술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동구와 수성구는 5년 동안 보존해야 하는 복지시설 결산보고서를 보관하지도 않고 있으며, 달서구는 일부 종합사회복지관의 결산보고서 첨부서류를 제출 받지 않았다고 김 변호사는 밝혔다.
대구시는 복지시설에 대해 회계업무를 강화하도록 조치하고 지시 사항을 계속해서 어기면 감사에 나설 뜻을 밝혔다. 또 투명하게 복지시설이 운영되도록 시설 이용자의 보호자와 지역주민, 후원인 대표, 시설 종사자 등으로 운영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하고, 회의 결과를 공개하도록 할 계획이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