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 “정치활동 보장” 제안도
시설물이 너무 많아 시민들의 휴식·소통 공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광화문광장을 최대한 비우고 차 없는 광장으로 운영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또 광화문광장에서 정치적 행위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울시와 서울시 광장운영시민위원회는 10일 중구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광화문광장 전문가 토론회’를 열어 광화문광장의 역할과 정체성, 차 없는 광장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광화문광장, 그 자리매김’을 발표한 여혜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광화문광장 안에서 자유로운 보행을 저해하는 인공조형물의 면적 비율은 약 33%로 영국 런던의 트래펄가 광장(16%)의 약 2배에 달한다”며 “광화문광장의 불필요한 시설물을 철거하고 비운 공간을 ‘사람’으로 채워야 한다”고 말했다.
여 부연구위원은 또 “지난 1월 시민 6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휴일이나 주말을 ‘차 없는 광화문광장의 날’로 만드는 의견에 대해 70%의 시민들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차 없는 광화문광장 운영을 확대하기 위해 보행중심구역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보행중심구역제란 대규모 행사 때 ‘보행중심구역’으로 정해진 곳에서는 자동차가 다닐 수 없도록 하는 제도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강병근 건국대 건축공학과 교수도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의 4개 면이 모두 도로로 폐쇄된 것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며 “광화문 앞 1개 면만이라도 보행자들이 차로를 건너지 않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화문광장, 문화민주주의의 공간으로’를 발표한 이원재 문화연대 사무처장은 “서울시가 조례를 통해 광화문광장에서의 집회를 원천적으로 막은 것은 시민들의 자유로운 집회를 보장하고 있는 헌법을 위배한 것”이라며 “대통령궁 바로 앞에서도 자유롭게 정치적 의사표현을 할 수 있는 민주주의 선진국들처럼 정부부처로 둘러싸여 있는 광화문광장에서도 자유로운 정치적 활동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