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인사 등 현장 중심 전환
외부 연구의뢰…인력진단 병행
외부 연구의뢰…인력진단 병행
강원도교육청(교육감 민병희)이 관리·감독과 규제업무 중심인 현행 조직구조를 학교와 교육수요자 등 현장 지원 중심으로 바꾸기 위한 조직개편 작업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도교육청은 19일 본청과 지역교육청, 15개 직속기관 조직개편을 위한 ‘조직·인력 진단’을 외부 연구진에게 맡기기로 하고, 도교육청 소회의실에서 설명회를 열었다. 책임연구자인 김대건 강원대 교수(행정학)는 “초등·중등교육 등 ‘대상’ 중심으로 구성돼 있는 현행 도교육청 조직을 장학·인사·교육과정 등 ‘기능’ 중심으로 재편해, 조직과 인력의 효율을 높이는 게 연구 목적”이라며 “인구는 적고, 권역은 넓고, 농·어·산·탄광촌과 도시 등 지역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지닌 ‘강원 교육’의 현실에 맞는 조직모델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 등 연구진 4명은 석달 남짓 도교육청 본청과 17개 지역청을 대표해 춘천시교육청의 조직·인력 실태를 점검해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연구진은 또 민 교육감의 핵심 공약사업 이행을 위해 꾸려진 ‘모두를 위한 교육 추진단’과 함께 도교육청 산하 15개 직속기관에 대한 조직·인력 진단도 병행하기로 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직속기관 가운데 상당수는 기능이 겹치거나, 인력이 과도하게 배치돼 있는 등 오래 전부터 재배치 필요성이 제기돼왔다”며 “필요 이상으로 커진 기관은 통폐합 등을 통해 인력·예산의 효율화를 꾀해, 교육수요자 지원 쪽으로 남는 인력과 예산을 돌리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강원고·성수여고 등 춘천지역 6개 고교 동문회는 이날 오후 도교육청에서 춘천 고교 평준화 실현 시민운동본부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이들은 회견에서 “비평준화를 옹호하는 특권세력이 도민들의 열망을 무시한 채 비평준화 제도를 고착화하면서, 입시지옥과 고교 서열화로 아이들이 20년 가까운 세월 고통과 상처를 입었다”며 “평준화가 실현되면 공교육이 정상화하면서 입시과열도 해소되고, 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도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