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준설 필요성 되풀이
시민단체, 삭발등 반발
시민단체, 삭발등 반발
정부가 부산 시민들의 식수원 근처에서 대규모 불법 폐기물이 발견되면서 지연되고 있는 경남지역 4대강 사업과 관련해 8일 의견수렴 명목으로 낙동강 현지에서 대규모 회의를 열었다. 하지만 회의에서는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반쪽짜리 의견수렴’에 그치고 말아, 정부가 4대강 사업 회수를 위해 본격 모양새 갖추기에 나섰다는 지적을 받았다. 회의가 열린 경남 밀양시 하남읍 낙동강 15공구 현장사무실 밖에선 부산·경남지역 시민단체와 야당 등이 4대강 반대 집회를 열었으며, 일부 참가자들은 삭발까지 단행했다.
이날 국토해양부가 연 ‘낙동강 사업 전반에 걸친 자치단체 의견수렴을 위한 자리’에는 정부 쪽에서 심명필 국토부 4대강추진본부장과 행정안전부·환경부·농림수산식품부·특임장관실의 차관급이 나왔다. 지방자치단체 쪽에선 강병기 경남도 정무부지사와 경남지역 낙동강권 10개 시·군의 (부)시장·군수들이 참석했다.
90분 남짓 비공개 회의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심 본부장은 “낙동강 사업은 홍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상·하류 구분 없이 같은 시기에 공사를 마쳐야 한다”며 ‘여름 우기 전 보·준설 완공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경남도가 낙동강 사업을 그대로 할 수 없다면 중앙정부에서 가져오는 방안이 있을 것이지만, 회수 시기를 결정하지는 않았다”며 “김두관 경남도지사와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만날 생각도 있지만, 이제 와서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정부 방침을 거듭 되뇌었다.
이에 대해 강 부지사는 “비공개로 회의를 열 만큼 격렬한 토론이나 심각한 이야기가 오가지 않았고, 특별한 내용도 없었다”며 “국토부가 경남도에 회의 개최를 일방적으로 통보하더니 김 지사 참석 여부를 검토하기 전에 공표하는 등 회의 개최 과정이 상식적이지 않아 김 지사가 참석하기 곤란했고, 그러다 보니 회의는 얼떨떨하게 진행됐다”고 전했다.
회의장 밖에선 부산·경남 종교평화연대, 4개 주민대책위원회, 낙동강 지키기 경남본부와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 등 야 4당 경남도당이 ‘4대강 사업 회수 강행 정부 규탄 및 낙동강 지키기’ 기도회와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병하 민주노동당 경남도당 위원장과 이봉수 국민참여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삭발했다.
민주당 등 야 4당 부산시당도 이달 하순 ‘낙동강 대미취수장 불법 폐기물 진상 규명과 부산시 식수 문제 대책 부산시민대회’를 여는 등 대정부 투쟁 수위를 높이기로 이날 결의하고 나섰다. 이들 당 소속 시·구의원 54명은 4대강 사업의 즉각 중단과 식수 오염 문제를 풀기 위한 국회 특위 구성 및 민관 공동합의기구 구성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마련해 오는 10일 국토부와 부산시 등에 낼 예정이다. 최인호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등은 “부산 시민의 57%가 먹는 식수에 사용되는 물을 취수하는 곳에서 1~2㎞ 상류지점의 둔치에 수십만t의 폐기물이 매립됐다는 것은 부산 시민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부산 시민의 식수를 지키기 위해 적극 연대하겠다”고 말했다.
밀양 부산/최상원 김광수 기자 csw@hani.co.kr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