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교직원 ‘학교 위상 변화’ 등 이유로 반대…진통 예고
통합을 추진 중인 경북대와 상주대가 21∼22일 교수회 투표를 해 압도적인 찬성이 나왔지만 직원과 학생 등 다른 학내 구성원들의 견해가 엇갈려 통합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 양 대학 교수들만 통합 찬성=경북대 교수회는 21일부터 이틀동안 전임강사 이상 교수 960명 중 810명(투표율 84.3%)을 대상으로 통합 찬반투표를 실시해 찬성률 68.6%(찬성 586명)로 가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그러나 22일 실시한 교직원 찬반투표에서는 463명이 투표해 54.6%인 252명이 반대했다.
상주대 교수회는 22일 총학생회의 저지로 투표를 진행하지 못하다 오후 8시께부터 1시간에 걸쳐 기습적으로 투표를 실시했다. 그 결과 찬성 83표, 반대 9표, 기권 21표 등으로 나타나 찬성률이 73.5%로 집계됐다. 하지만 상주대 총학생회는 즉각 “투표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게다가 상주대 총장까지 투표결과를 부정하자 교수협의회가 다시 반박 성명을 내는 등 내분양상마저 빚고 있다. 경북대 총학생회도 23일부터 이틀간 찬반투표에 돌입했지만 학생들의 반대의견이 높아 부결될 경우 양 대학 통합에 큰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 찬반이 엇갈리는 이유=교수와 학교 쪽은 현실적인 이유때문에 통합을 추진한다. 2001년부터 신입생이 줄어든 상주대는 2004년에는 충원률이 65%에 머물러 위기에 놓였다.
경북대도 발전에 지장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정부가 채찍과 당근으로 대학통합을 적극 유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통폐합을 하거나 자체 구조개혁 중 한 가지는 선택해야 한다. 이를 하지 않으면 2007년에는 입학정원 10%, 2009년에는 15%까지 감축해야 한다. 또 각종 국책사업이나 연구지원사업에서 불이익을 받고, 올해부터 4년동안 9800억원이 책정된 구조개혁 재정지원을 한 푼도 받을 수 없다. 게다가 도심에 있는 캠퍼스가 포화상태여서 거점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통합이 불가피하다는 게 교수들의 찬성이유다.
학생들의 반대이유는 학교마다 다르다. 경북대 총학생회는 “비리사학 정리가 아니라 국립대 통합으로 대학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려는 것은 사실상 교육부의 공교육 포기정책”이라고 주장했다. 하 지만 게시판에 올라오는 학생들의 반대의견은 통합이 학교의 위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대부분이다. 상주대 학생들은 학교가 없어지는 대신 통합 총장 명의로 된 졸업장을 달라고 요구한다. 양 대학 직원들은 국립대 통폐합이 결국 법인·민영화 및 교수·직원·학생을 줄이는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반대한다. 상주 시의회 등 지역사회도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반대한다. 결국 각계각층의 반대 목소리를 양대학의 통합추진 세력이 어떻게 설득해내느냐가 통합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