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원 이상을 들여 친환경 에너지시설로 건립된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소각장의 시설 곳곳에서 문제점이 드러나, 대기오염 피해 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오후 소각장 빈터에 지정폐기물인 비산재가 담긴 포대들이 잔뜩 쌓여 있다. 사진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발암물질 다이옥신 초과…처리 더뎌 쓰레기 2천t 쌓여
경기 고양시가 1129억원을 들여 지난 3월 준공한 일산동구 백석동 쓰레기소각장의 처리 용량과 유해가스 배출량이 시행사인 포스코건설의 설계기준치에 못 미쳐 부실시공 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고양시 새 쓰레기소각장에 가보니, 소각장 안 쓰레기 집하장에는 태우지 못한 쓰레기 2000여t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고, 건물 밖에는 하루 12~15t씩 배출되는 비산재가 수십 포대 쌓여 있었다. 위험폐기물로 지정된 비산재는 새 소각장에서 4.5%나 발생해 시행사의 설계기준인 1.26%보다 3배 이상 웃돌았다.
고양시와 고양시쓰레기소각장 시민대책위원회 등의 말을 들어보면, 고양시는 백석동 소각장에 쓰레기를 분해시켜 처리하는 신기술인 ‘열분해 용융방식’을 도입해 하루 300~330t 처리 규모의 소각로 2기를 4월부터 가동했다. 그러나 7개월 동안 상업운전한 결과 쓰레기 처리 용량은 하루 평균 248t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새 소각장은 절대 배출돼서는 안 되는 유해물질인 열분해가스(노정가스)와 함께, 발암물질인 다이옥신도 최근 조사 결과 설계기준인 0.01㎍을 초과해 1, 2호기에서 각각 0.012㎍과 0.019㎍ 배출됐다고 소각장을 위탁운영하는 한국환경공단이 밝혔다. 소각 처리비용 또한 기존의 ‘스토커’ 방식보다 2배 많은 t당 9만1765원이 소요돼 효율성마저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더욱이 새 소각장은 각종 검사와 보수공사, 설비 장애 때문에 6개월새 42일 동안 가동을 못한 것으로 드러나 안정화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인철 한국환경공단 일산에너지사업소 정비팀장은 “용융로 보조설비시설 등에서 자꾸 결함이 발생해 처리속도가 설계기준에 못미치고 있다”며 “시행사 쪽은 쓰레기의 발열량이 낮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근본적으로 성능 보완 공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평수 고양환경운동연합 위원장은 “준공 전 수차례 문제점 개선을 요구했으나 허가가 났고, 인계인수 절차까지 마무리돼 결국 시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이종경 고양시 청소과장은 “국내 처음 도입된 신기술로 소각로가 안정화되지 못해 나온 문제”라며 “미비한 부분은 시행사에 보완공사를 하도록 조처하고, 설계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선 손실금액을 청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글·사진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