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성물질 ‘요오드131’ 누출
안전기술원 “기능 합격기준 못 미쳐…규정어기고 요오드 초과생산
한국원자력연구소의 방사성 물질 ‘요오드 131’ 누출 사고는 ‘사전 점검과 관리 소홀’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누출사고를 조사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24일 “원자력연구소 동위원소(요오드 131) 생산시설의 기체방사성물질 배기구에 설치한 활성탄 여과기가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해 방사성 물질이 누출됐다”고 밝혔다.
안전기술원은 “지난 14~16일 연구소의 동위원소 생산시설 점검하면서 활성탄 여과기 성능을 검사했더니 누설허용치 0.05%보다 무려 10배나 높은 0.5%가 측정돼 합격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원자력연구소는 여과기를 교체하면 즉시 성능시험을 해야하는데도 지난 4월 이 여과기를 교체하면서 측정 장비가 고장났다는 이유로 성능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았을 뿐 더러, 공급 부족을 이유로 연간 방사성 요오드 생산 용량인 200큐리(Ci)를 초과해 360큐리를 생산하는 등 규정을 위반한 사실도 드러났다.
안전기술원은 “대덕연구단지 6개 지점의 방사능 농도 측정 결과, 최대 검출 수치는 0.611Bq/ℓ에 그쳐 세계보건기구의 음용수 권고기준 농도인 10Bq/ℓ수준보다 낮았다”며 “5월 중 전체 방사능 누출량을 근거로 한 주민예상 피폭 선량 평가에서도 0.0135mSv로 갑상선 선량 규제제한치인 0.15mSv의 9% 수준이어서 과다 피폭은 없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고 덧붙였다.
안전기술원 쪽은 그러나 “이번 누출사고는 방사성 요오드 생산 및 취급 과정이나 배출 되는 방사성 물질에 대한 관리감독과 감시를 위한 규정 등이 지켜지지 않는 등 안전불감증이 부른 인재”라며 “충남대 대전지방방사능측정소에서 누출 사실을 감지하지 못했다면 방사성 물질 누출이 계속됐을 가능성이 큰 만큼 종사자들의 안전의식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과학기술부는 유사사고 재발을 방지하고 밝혀진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지난 20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하나로원자로 정기점검 및 운영 전반에 대한 정밀점검에 착수했다. 한편,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성명을 내어 “원자력연구소 주변이 대규모 공동주택단지가 들어서는 등 도시화됐는데 지난해 삼중수소가 포함된 중수 누출에 이어 올해 또다시 방사성 요오드 누출사고가 발생해 시민 안전과 주변 환경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며 “정부는 원자력에 대한 불신이 커지기 전에 정밀한 방사성 물질 누출감시 체계 등을 갖추라”고 촉구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과학기술부는 유사사고 재발을 방지하고 밝혀진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지난 20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하나로원자로 정기점검 및 운영 전반에 대한 정밀점검에 착수했다. 한편,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성명을 내어 “원자력연구소 주변이 대규모 공동주택단지가 들어서는 등 도시화됐는데 지난해 삼중수소가 포함된 중수 누출에 이어 올해 또다시 방사성 요오드 누출사고가 발생해 시민 안전과 주변 환경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며 “정부는 원자력에 대한 불신이 커지기 전에 정밀한 방사성 물질 누출감시 체계 등을 갖추라”고 촉구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