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2일 아침 경남 김해시 상동면 4대강 사업 낙동강 8공구에서 기습적으로 불법매립 폐기물 시료를 채취했다.
땅 파자 폐비닐·콘크리트 등 무더기로 쏟아져
“오염 없다” 정부 조사와 달리 변색·악취 심해
국토청·시공사 저지로 16곳중 5곳만 시료채취
“오염 없다” 정부 조사와 달리 변색·악취 심해
국토청·시공사 저지로 16곳중 5곳만 시료채취
2일 아침 8시 강병기 정무부지사, 송봉호 환경정책과장, 임근재 정책특별보좌관, 이근선 경남보건환경연구원 원장과 연구사 등 경남도 관계자 20여명이 대형 굴착기 2대를 앞세우고 경남 김해시 상동면 감로리 4대강 사업 낙동강 8공구 현장으로 들어섰다. 현장을 지키는 직원이 있었으나, 기습적으로 들어선 이들을 막지 못했다.
도는 불법매립된 폐기물의 성분 분석을 위해 전격적으로 시료 채취 작업을 벌였다. 이날 작업은 도의 조사를 반대하는 부산국토관리청 및 시공업체 등과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군사작전을 방불케 할 만큼 비밀스럽게 준비돼 신속하게 이뤄졌다. 도는 지난달 15일에도 시료 채취를 시도했으나, 부산국토관리청과 시공업체 직원들이 차량을 동원해 막는 바람에 실패했다.
굴착기가 50m 간격으로 땅을 파자 지하 1.4~2.5m 지점부터 구덩이마다 폐콘크리트, 폐주물, 비닐 등이 뒤섞인 시커먼 폐기물이 튀어나오기 시작했다. 폐기물 두께는 2~3.8m에 이르렀고, 일부 구덩이에서는 녹물처럼 검붉은 빛깔의 물이 배어 나왔다. 도 관계자들은 “부산국토관리청 조사 결과의 신뢰성이 의심받는 상황에서 직접 현장을 보니 부산국토관리청이 발표한 폐기물 전체 양과 오염 정도를 도저히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부산국토관리청은 지난달 26일 8공구 안 준설 대상지 22만3000㎡에 39만4200㎥의 폐기물이 매립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이는 폐기물 두께를 평균 1.77m로 추산한 것이어서 도가 현장에서 확인한 폐기물 두께의 절반 수준이다. 또 전체 폐기물의 70%가량 되는 저니토(점질토)는 오염되지 않았다고 했으나, 현장에서 확인한 저니토는 새카맣게 변색되고 악취까지 풍겨 오염되지 않았다는 발표를 믿기 어려웠다.
경남보건환경연구원 연구사들은 2개조로 나눠 깨끗한 표층, 폐기물 부분, 폐기물을 완전히 걷어낸 아랫부분 등으로 나눠 구덩이마다 세부분에서 시료를 채취했다. 연구원 쪽은 “토양오염 공정시험 기준에 따라 중금속, 유기물, 유류 등 21개 항목을 20일가량 검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료 채취는 1시간여 만에 중단됐다. 오전 9시10분께 현장에 도착한 부산국토관리청과 시공사 직원들이 작업을 막고 나섰기 때문이다. 부산국토관리청 현장책임자는 “왜 남의 땅에 허락 없이 들어와 땅을 파느냐”며 “불법적으로 조사를 시도한 경남도를 반드시 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애초 16곳에서 시료를 채취할 계획이었으나, 5곳에서만 작업을 하고 나왔다.
임 정책특보는 “오늘 작업은 ‘신속히 조사하라’는 김두관 지사의 지시에 따른 것이며, 부산국토관리청이 힘으로 막고 있을 뿐 도의 조사는 결코 불법이 아니다”라며 “시료 분석 결과를 보고 방침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도는 부산국토관리청에 낙동강 8~9공구의 폐기물에 대한 공동조사를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부산국토관리청은 이를 거절하고 단독조사를 한 뒤 지난달 26일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와 부산·경남 지역 환경단체들은 부산국토관리청 조사 결과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