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도 발생…경기북부·강원·충남 의심신고 ‘폭주’
정부 “백신처방 적극 검토”
정부 “백신처방 적극 검토”
경북지역을 초토화시킨 구제역이 경기 북부에서 파죽지세로 확산되고 있다. 강원의 평창과 화천, 경기의 김포·포천(2건)·연천, 충남의 천안 등에서 의심신고가 쏟아지면서 구제역 사태가 통제불능 상황으로 빠져드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에서는 최후 수단인 백신 처방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했다.(<한겨레> 18일치 1면)
농림수산식품부는 21일 경기 가평군 하면 신하리 한우농장에서 구제역이 또 발생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파주의 분뇨처리시설업체 관계자가 지난달 17일과 25일 두 차례에 걸쳐 경북 안동 지역을 방문했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또 강원 평창군 대화면 신2리와 화천군 사내면 명월1리의 한우농가, 경기 포천시 일동면 사직3리와 관인면 중1리 한우농가,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 돼지농가,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 돼지농가, 충남 천안시 성남면 대흥2리 사슴농가 등 이날 하루에만 3개 도에서 7건의 의심신고가 쏟아졌다고 밝혔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농식품부는 이날 가축방역협의회와 자체 비상회의를 잇따라 열어 백신 처방 방안을 공개적으로 논의했다.
유정복 농식품부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구제역이 심각한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판단된다”며 “오늘 가축방역협의회 회의에서 백신 처방의 타당성 여부를 의논했다”고 밝혔다.
다만 유 장관은 “백신 처방은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오늘 들어온 의심신고의 결과를 본 뒤에 최종적으로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중이며 결정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한편 사상 최대의 구제역 피해를 본 경북도는 오는 31일 영덕 삼사해상공원에서 열 예정이던 제야의 종 타종식 행사를 취소했다. 구미·김천시, 영덕군은 타종 행사와 송년음악회를, 포항시는 호미곶 해맞이 행사를 각각 취소했다. 김현대 선임기자
대구/구대선 기자 koala5@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