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편입’ 11곳중 7곳, 이전키로…경기도 “4곳 강제수용”
정부의 4대강 사업 대상지에 편입돼 반발해온 경기 양평군 팔당 두물머리 한강 둔치의 유기농가 11곳 가운데 7곳이 두물머리를 떠나기로 함에 따라, 20여년 동안 팔당에서 유기농공동체를 일궈온 ‘팔당 유기농단지’가 사실상 붕괴될 전망이다.
30일 팔당농민과 경기도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노태환(47)씨 등 두물머리 7개 유기농가는 29일 양평군 세미원에서 연 김문수 경기지사와의 간담회에서, ‘3년 거치 17년 상환, 금리 1.5% 조건의 농지구입 자금 지원’을 뼈대로 한 경기도의 제안을 수용하고 유기농지 이전에 합의했다.
경기도의 제안을 수용한 7농가는 각자 대체농지를 구입한 뒤 이르면 내년 4월부터 두물머리의 유기농 시설을 철거하고 이전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이전을 거부하는 유기농가 4곳은 ‘강제 수용’할 방침이다.
앞서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송촌지구 북한강 둔치 유기농가 32곳도 내년 상반기에 17.2㏊ 규모의 와부읍 도곡리 시범농장 등으로 이전하기로 지난 9월 남양주시와 합의했다.
간담회에서 농민들은 ‘유기농이 팔당호 수질을 오염시킨다’는 경기도의 왜곡 홍보에 대한 김 지사의 사과 등 6개항을 요구했으며, 이에 김 지사는 직접 사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지보존과 친환경농업 사수를 위한 팔당공동대책위’ 유영훈 위원장은 “남은 두물머리 농가들과 시민사회단체, 생협, 종교계, 4대강 범대위, 야당 등과 연대해 4대강 사업 반대와 팔당유기농지 보존 싸움을 계속할 방침”이라며 “김 지사는 말로만 사과하고 끝낼 게 아니라 팔당호의 심각한 오염을 불러올 팔당유기농지의 공원화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두물머리 농민들은 ‘유기농업이라도 수질에 악영향을 주므로 반드시 옮겨야 한다’는 경기도의 이전 요구에 맞서 “팔당지역이 한국 유기농업의 발상지인데다, 유기농은 수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이전을 완강히 거부해왔다.
양평/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