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몰지 확보 난항…침출수 오염 등 관리도 ‘구멍’
충청선 백신접종에 농민동원 “전염확산 우려도”
충청선 백신접종에 농민동원 “전염확산 우려도”
구제역 확산으로 가축 살처분이 동시다발로 긴급하게 이뤄지면서 지방자치단체들마다 매몰 장소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가 예방약(백신) 접종 대상을 빠르게 확대함에 따라, 인력이 달린 충남도가 축산농민을 백신 접종에 동원하기로 해 오히려 구제역 전파 등 역효과 우려가 일고 있다.
5일 경기도 파주·고양 등 자치단체 방역담당관 등의 말을 종합하면, 구제역이 발생한 축사 인근에 매몰지가 불충분하고 가축을 멀리 수송하기도 어려워 매립지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이병직 파주시 가축방역팀장은 “축사 인근 농장주의 논밭에 매립해야 하는데, 농장주 논밭이 없으면 국공유지를 알선하는데도 마을 주민들의 반발이 커 선정이 어렵다”고 말했다. 농민 황아무개(49·파주시)씨는 “매립지로 쓴 농지는 3년 동안 농사를 지을 수 없는데다 인근 논까지 침출수 등으로 오염될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가축 매몰 장소는 △집단가옥이나 수원지·하천·도로에 인접하지 않은 곳으로 사람이나 가축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 곳 △농장부지 등 매몰 대상 가축이 발생한 장소 △국공유지 가운데 선택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조건에 적합한 장소를 찾기가 날로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한 가축방역관은 “살처분이 결정돼도 매몰 장소를 정하지 못해 2~3일씩 기다릴 때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까지 경기지역에선 38만6268마리가 살처분됐고 매몰지는 450여곳에 이른다.
매몰지 인근에서 ‘핏물 침출수’가 흘러나온 파주시 광탄면 등 매몰지 22곳에서 배수로를 설치하지 않거나 비닐 차수막이 찢겨져 있는 등 매몰 과정에서 안전관리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고 경기도가 밝혔다.
구제역 백신 접종 대상 가축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충남도가 축산농민도 백신 접종에 동원하기로 했다. 충남도는 6일부터 5일 동안 청양·홍성·보령의 소·돼지 37만마리에게 백신 접종을 한다. 3~4명씩인 접종팀만 500여팀이 필요한데 수의사 등 방역 전문가는 270여명뿐이라는 이유를 들어 축산농민, 수의대 학생 등으로도 접종팀을 꾸리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구제역 긴급방역 행동지침’에는 수의사 말고도 수의대 학생, 예방 접종 실시 경력자 등이 접종을 맡도록 돼 있고, 농식품부가 ‘예방 접종 경험이 있는 축산농민을 동원해도 좋다’고 충남도에 알렸다는 것이다.
가축방역 전문가들은 “예방 접종 과정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접종 뒤 7일 동안 접종팀을 격리한다”며 “사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구제역을 확산시키는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5일 강원 횡성군 안흥면과 양양군 손양면, 충북 진천군 문백면, 경기 용인시 백암면 등 돼지농장 4곳에서 한꺼번에 구제역 발생이 확인됐다. 경기 화성시 팔탄면 젖소농장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날까지 구제역 발생 지역은 6개 시·도, 43개 시·군·구로 늘었으며, 매몰처분 가축은 82만6456마리에 이르렀다. 이날 전남 영암군 시종면 오리농장은 4500마리가 추위에 떨다 폐사하자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이 의심된다고 신고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6일 오전 청와대에서 구제역 대책 관련 긴급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구제역 발생 상황을 점검하고 백신 확보 및 접종 등 향후 방역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파주 대전/박경만 송인걸 기자 mania@hani.co.kr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6일 오전 청와대에서 구제역 대책 관련 긴급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구제역 발생 상황을 점검하고 백신 확보 및 접종 등 향후 방역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파주 대전/박경만 송인걸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