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회 등 11개 단체…상설 연대모임 닻 올려
“교육 공공성 확대 주력”
“교육 공공성 확대 주력”
강원지역 교육관련 단체들을 망라한 ‘교육 공공성 실현을 위한 강원교육연대’(공동대표 김효문 등)가 18일 출범했다. 민병희 교육감이 추진해 온 각종 교육개혁 정책이 교육과학기술부와 도의회의 벽에 막혀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역 시민사회가 직접 팔을 걷어붙인 모양새다.
강릉학부모회·전국공무원노동조합 강원교육청 지부·고교평준화 춘천시민대책위 등 강원지역 11개 시민·교육·노동단체는 이날 오후 춘천 중앙로 강원도의회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어 “강원도민의 염원에도 정치권력에 의해 좌초된 고교평준화, 무상교육 등 교육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 지역과 정파를 뛰어넘는 연대의 돛을 올린다”며 “학생·학부모·교직원·시민들의 참여로 강원도의 학교를 민주적이고 공공성이 넘치는 공간으로 바꿔내는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강원교육연대 참가 단체를 보면, △강원학부모단체협의회에 참가한 학부모 단체 4곳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강원지부를 비롯해 강원교육노동조합협의회 소속 교육관련 노조 4곳 △원주·횡성교육연대와 강릉교육연대 등 교육관련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망라돼있다. 그간 친환경 무상급식·고교 평준화 등 사안별로 공동 대응을 해 오던 강원지역 시민사회가 학부모 단체와 교사를 비롯한 교육 노동자가 중심이 돼 시민단체까지 참여하는 대규모 상설 연대체를 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효문 공동대표는 “친환경 무상급식과 교복·현장학습비 지원 등 무상교육정책과 학교 비정규직 정규직화 등 교육노동자 처우개선 문제, 고교평준화와 혁신학교 등 교육현안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의제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며 “특히 도교육청이 이미 입법예고한 고교평준화 조례를 이른 시일 안에 통과시켜줄 것을 도의회에 촉구하며, 도의회가 끝내 이를 거부하면 주민조례 발의 등 시민사회가 직접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강원교육연대는 다음달 14일 춘천에서 학생·학부모·교사 등 1천여명이 참여하는 ‘강원교육주체결의대회’를 열어, 교육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지역여론을 모아낼 계획이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