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에 생활보조금…아파트 특별분양…
경북 시·군, 실현 불가능한 약속 쏟아내 “우리 지역에 공공기관이 오면 직원들한테 한달 20만원씩 생활보조금을 주겠습니다.”(상주) “우리는 아파트를 특별 분양해 드리겠습니다.”(경산) 경북 시·군 지역이 6일 공공기관을 서로 유치하기위해 온갖 아이디어를 내놨다. 경북에 배정된 도로공사를 유치하려고 안간힘을 쏟고 있는 경북 상주시는 “ 도로공사가 상주로 온다면 도로공사 직원들한테 1인당 매달 20만원 어치의 농산물 상품권을 생활보조금으로 주겠다”고 밝혔다. 상주시는 이어 주말마다 서울∼상주를 오가는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도로공사 직원들이 자녀 교육에 불편이 없도록 특수목적고를 세우겠다는 파격적인 조건도 제시했다. 혁신도시 후보지 가운데 1곳으로 거론되는 경산시는 공공기관 직원들에게 아파트를 특별 분양하겠다고 약속했다. 경산시쪽은 “민간 건설업체에서 분양하는 아파트는 특별 분양이 곤란하고, 공공기관에서 분양하는 아파트는 특별분양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특목고를 신설하고 경산지역 13개 대학에 공공기관 직원들의 자녀들이 특별입학할 수 있도록 배려하겠다고 말했다. 상주와 함께 도로공사 유치를 놓고 치열하게 경합중인 김천시도 아파트 특별분양, 주택구입자금 30% 지원 외에 공공기관 직원들에게 연극, 음악 공연 등을 하는 김천문화 예술회관 입장료와 실내 수영장 입장료를 받지 않지 않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미시에서는 만약에 도로공사를 유치한다면 직원들의 배우자들을 구미공단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직장을 알선하겠다는 이색적인 유치 조건을 내걸기도 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에는 공단에 사업장이 밀집해 일자리가 많아 배우자 취업이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문경, 경주 등 기초자치단체들은 이 밖에도 한결같이 공공기관이 들어설 터를 공짜로 빌려주고 각종 세금을 면제하거나 깍아주겠다는 제의를 해놓고 있다. 기초단체들이 파격적인 유치 조건을 내놓자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는 의욕이 넘쳐 실현 불가능한 약속을 남발한다”거나 “국민들의 혈세인 예산을 엄격한 잣대없이 마구잡이로 사용해도 되느냐”는 비난이 쏟아졌다. 대구/구대선 기자sunnyk@hani.co.kr
경북 시·군, 실현 불가능한 약속 쏟아내 “우리 지역에 공공기관이 오면 직원들한테 한달 20만원씩 생활보조금을 주겠습니다.”(상주) “우리는 아파트를 특별 분양해 드리겠습니다.”(경산) 경북 시·군 지역이 6일 공공기관을 서로 유치하기위해 온갖 아이디어를 내놨다. 경북에 배정된 도로공사를 유치하려고 안간힘을 쏟고 있는 경북 상주시는 “ 도로공사가 상주로 온다면 도로공사 직원들한테 1인당 매달 20만원 어치의 농산물 상품권을 생활보조금으로 주겠다”고 밝혔다. 상주시는 이어 주말마다 서울∼상주를 오가는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도로공사 직원들이 자녀 교육에 불편이 없도록 특수목적고를 세우겠다는 파격적인 조건도 제시했다. 혁신도시 후보지 가운데 1곳으로 거론되는 경산시는 공공기관 직원들에게 아파트를 특별 분양하겠다고 약속했다. 경산시쪽은 “민간 건설업체에서 분양하는 아파트는 특별 분양이 곤란하고, 공공기관에서 분양하는 아파트는 특별분양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특목고를 신설하고 경산지역 13개 대학에 공공기관 직원들의 자녀들이 특별입학할 수 있도록 배려하겠다고 말했다. 상주와 함께 도로공사 유치를 놓고 치열하게 경합중인 김천시도 아파트 특별분양, 주택구입자금 30% 지원 외에 공공기관 직원들에게 연극, 음악 공연 등을 하는 김천문화 예술회관 입장료와 실내 수영장 입장료를 받지 않지 않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미시에서는 만약에 도로공사를 유치한다면 직원들의 배우자들을 구미공단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직장을 알선하겠다는 이색적인 유치 조건을 내걸기도 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에는 공단에 사업장이 밀집해 일자리가 많아 배우자 취업이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문경, 경주 등 기초자치단체들은 이 밖에도 한결같이 공공기관이 들어설 터를 공짜로 빌려주고 각종 세금을 면제하거나 깍아주겠다는 제의를 해놓고 있다. 기초단체들이 파격적인 유치 조건을 내놓자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는 의욕이 넘쳐 실현 불가능한 약속을 남발한다”거나 “국민들의 혈세인 예산을 엄격한 잣대없이 마구잡이로 사용해도 되느냐”는 비난이 쏟아졌다. 대구/구대선 기자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