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지자체 ‘광역급행철도 터널 활용’ 협약 맺기로
그동안 지상에 노출돼 있던 경원선 철로 일부를 지하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서울 노원구(구청장 김성환)·도봉구(구청장 이동진)·동대문구(구청장 유덕열)와 경기 의정부시(시장 안병용) 등 4개 자치단체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건설사업과 경원선 의정부~청량리 구간 지하화를 연계해 추진하는 협약을 맺는다고 1일 밝혔다.
1974년 개통된 경원선 의정부~청량리역 18.7㎞ 구간은 40여년 동안 수도권 동북부 지역과 도심을 잇는 주요 교통수단이었다. 그러나 지상철로의 특성상 철로 주변 주택가에 소음·분진 문제를 일으키고, 도시를 둘로 갈라놓아 통합 발전을 가로막는 등 지역 발전의 걸림돌로 지적돼왔다. 해당 구간의 자치단체들은 몇 차례 철로를 지하화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3조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막대한 비용 때문에 현실화하기 어려웠다.
4개 자치단체의 경원선 지하화 논의는 지난 4월 광역급행철도 사업이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1~2020년)에 반영되면서 급물살을 탔다.
경기도가 2009년 국토해양부에 제안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지하 40~50m 터널을 평균 시속 100㎞로 달리는 철도망이다. 사업비 3조8270억원을 들여 일산~수서, 송도~청량리, 의정부~금정 구간에 3개 노선을 연결한다.
이 가운데 의정부~금정 구간 제3노선에서 의정부~청량리 구간이 해당 지역의 경원선 노선과 대부분 겹친다. 이 때문에 광역급행철도를 건설할 때 터널 폭을 넓히거나 복층구조로 지어 경원선과 함께 이용하면 지하화 사업비뿐 아니라 유지·관리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게 4개 자치단체의 계산이다.
이들 자치단체는 3일 오전 도봉구청에서 공동추진 협약을 맺은 뒤 국토해양부, 경기도, 서울시 등에 경원선 지하화를 건의할 예정이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