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나무심기 운동에 동참한 서희정(18·백양고3)양 등 경기 고양시 자원봉사자 24명이 지난달 몽골 돈드고비아이막 만달고비솜의 사막 ‘고양의 숲’ 조림지에서 나무를 심고 있다. 경기 고양시 제공
민간단체·기업 활동 이어
고양·수원시 등 식수 활발
현지에 한국지명 숲 잇따라
고양·수원시 등 식수 활발
현지에 한국지명 숲 잇따라
몽골 고양의 숲, 수원시민의 숲, 경상남도 도민의 숲…. 황사의 주요 발원지인 몽골 사막에 한국의 지역 이름을 붙인 숲들이 잇따라 생겨나고 있다. 황사 피해가 늘면서 몽골의 사막화를 막으려는 현지 나무심기 운동에 국내 민간 단체·기업에 이어 지방자치단체들도 활발하게 나서고 있다.
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먼저 ‘몽골 고양의 숲’ 조성 10개년 계획을 세운 경기 고양시는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남쪽으로 265㎞ 떨어진 돈드고비아이막 만달고비솜 지역에 2009년부터 3년 동안 나무 3만그루를 심었다. 고양시는 2019년까지 10년 동안 18억원을 들여 사막 100㏊에 자생력이 강한 비술나무와 골담초류, 버드나무, 포플러와 열매 수확이 가능한 비타민나무 등 13만그루를 심을 계획이다. 윤성선 고양시 푸른도시사업소장은 6일 “나무심기 사업이 사막화 방지 효과를 낼 뿐 아니라 몽골 국민의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 수원시도 올해부터 2020년까지 10년 동안 15억원을 들여 몽골 튜브아이막 에르덴솜지역에 ‘수원시민의 숲’ 96㏊를 조성하기로 하고, 올해 1억3000만원을 들여 10㏊에 나무 1만그루를 심었다. 경남도는 2015년까지 5년 동안 5억원을 들여 울란바토르에서 240여㎞ 떨어진 볼간아이막 바양노르솜지역에 50㏊ 규모의 ‘경상남도 도민의 숲’을 조성하기로 하고 지난 3월 말부터 나무 5100그루를 심고 있다. 서울시는 2012년 10월까지 30억원을 들여 수도 울란바토르 외곽 바얀주르크 지역 내 국립공원 예정부지 670㏊ 가운데 2㏊에 ‘몽골 서울숲’을 조성하고 있다.
남한보다 면적이 17배 넓은 몽골은 전국토의 40%인 62만8천㎢가 사막이며, 국토의 90%가 사막화 위기에 놓인 것으로 알려졌다. 1976년 15%이던 산림 면적은 1990년 이후 10%로 줄었으며, 지난 30년 동안 식물종이 4분의 1로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기관·단체의 몽골 조림사업은 2006년 11월 산림청이 몽골 정부와 황사 및 사막화 방지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앞서 유한킴벌리, 대한항공, 동북아산림포럼, 한국로타리클럽, 푸른아시아 등 민간 기업·단체들은 2003년부터 몽골 현지에서 조림사업을 벌여왔다.
‘몽골 고양의 숲’ 마스터플랜의 연구책임자인 박재인 충북대 산림학과 교수는 “몽골의 모래사막은 지난 40년 동안 3만8000㏊ 확대됐으며, 그중 88%가 고비사막 등 몽골의 중남부지역에서 발생했다”며 “몽골의 급격한 사막화를 막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조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고양/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