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양양철광산이 폐광된 지 16년만에 다시 문연다.
양양철광 재개발 사업자인 대한광물㈜은 9일 오전 강원도 양양군 서면 장승리에서 설비·건축물 기공식을 열고 철광산 재가동을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회사 쪽은 올해 말까지 갱도 굴진작업을 시작으로 캐낸 철광석을 잘게 깨뜨리는 선관공정 시스템 설치작업을 마무리한 뒤, 내년 상반기에 철광석 제품을 생산해낼 계획이다.
일제 강점기인 1937년 문을 연 양양철광은 1980년대까지 국내 철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했으나, 철광석 가격 하락으로 채산성이 떨어지면서 지난 1995년 폐광됐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새 국제시장에서 광물가격이 급등한데다, 한국광물자원공사의 지질탐사 등을 통해 경제성이 재평가 되면서 지난해부터 재가동이 추진돼 왔다.
회사 쪽은 자체 탐사했더니, 양양철광에 충전지와 촉매 등으로 쓰이는 란타늄을 비롯해 세륨·툴륨·이트륨 등 희토류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황기철 대한광물 대표는 “채굴 가능한 철광석 651만t 가운데 내년부터 해마다 고품위 원광 30만t씩 10년 이상 생산하는 게 기본 계획”이라며 “희토류 역시 경제성과 환경평가, 관련 기술 등을 충분히 검토해 생산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대한광물㈜은 지난해 12월 양양철광산 재개발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법인으로 한전산업개발㈜과 한국광물자원공사가 각각 51%와 1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