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지역 2030명에 강연 나서…점심 기념품 제공도
백지화투쟁위 “핵망령 되살리기, 또 주민갈등 부추겨”
백지화투쟁위 “핵망령 되살리기, 또 주민갈등 부추겨”
강원 삼척시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과 필요성에 대해 통·리·반장 등을 대상으로 순회특강에 나서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삼척핵발전소유치 백지화투쟁위원회(공동대표 박홍표 신부)는 23일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참사 이후 전세계적으로 탈핵 선언이 잇따르고 있음에도 삼척시는 2천여명의 통·리·반장과 새마을지도자·부녀회장 등을 원전 안전성 홍보에 강제 동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백지화투쟁위가 이날 공개한 5쪽 분량의 문건을 보면, 삼척시는 원자력산업유치협의회 주관으로 6월24일 도계읍을 시작으로 7월15일 미로면까지 산하 12개 읍·면·동 전역을 돌며 순회특강과 간담회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오전 10시부터 2시간가량 진행되는 행사는 원전유치협의회 관계자의 기조연설과 △원자력산업 유치계획 설명(시 전략산업과) △원자력산업의 안정성·필요성 특강(원자력 전문가)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어 원자력 전문가와 삼척시 공무원, 원전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들이 참석해 질의에 응답하는 간담회가 마련된다. 참석 대상은 읍·면·동별로 이장·반장·새마을지도자·부녀회장 등 모두 2030명으로 돼 있으며, 행사가 끝나면 기념품과 점심식사까지 제공되는 것으로 돼 있다.
백지화투쟁위는 “지난 3월 96.9%의 시민이 원전 유치에 찬성했다고 날조했던 삼척시가 통·리·반장 등을 동원해 핵 망령의 불씨를 되살리려 하고 있다”며 “각종 여론조사에서 시민 70% 이상이 핵발전소 유치에 반대하고 있음이 확인됐음에도, 또다시 공무원과 관변단체를 앞세워 주민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광우 백지화투쟁위 기획홍보실장은 “시의회는 지난해 12월 주민투표를 조건으로 원전 유치 신청에 동의해준 바 있다”며 “시가 6월 말까지 주민투표 일정을 확정하지 않으면, 7월부터 주민투표법에 따른 주민투표 발의를 위한 서명운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