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에 전무이사까지 ‘친여’ 인사로…“지역지분 무시” 반발
강원랜드 경영진을 정부가 일방적으로 선임해 지역사회의 반발을 사고 있다.
강원랜드는 12일 임시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잇따라 열어 제7대 대표이사에 최흥집(60) 전 강원도 정무부지사를, 전무이사에 김성원(59) 전 국회사무처 특별위원회 수석전문위원을 선임했다.
강릉 출신인 최 신임 대표이사는 강원대 경영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도 산업경제국장·기획관리실장 등을 거쳤으며, 지난 4·27 도지사 선거 때 한나라당 경선 후보로 출마했다가 엄기영 전 문화방송 사장에게 석패했다. 강원랜드 대표이사와 전무이사까지 친여권 인사들이 차지하기는 처음이다.
민주노동당 강원도당도 13일 성명을 내어 “강원랜드는 1998년 6월 설립 이후 이번 7대 사장이 인선되기까지 정부와 강원도가 체결한 ‘합작투자계약서’에 따라 임원진을 선임해왔다”며 “대표이사는 정부, 전무이사는 강원도가 추천하는 원칙이 지켜진 이유는 강원랜드의 존재 이유인 폐광지역 경제 자립과 강원 몫의 지분을 인정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민노당은 이어 “정부는 이번 강원랜드 대표이사와 전무이사 선임 과정에서 원칙과 신의, 강원도와 폐광지역의 지분을 철저히 무시했다”고 비판했다.
강원도도 12일 오후 유감성명을 내어 “강원도 폐광지역은 주주로서 주식을 보유한 의미가 퇴색되고, 강원랜드 또한 단순히 배당금만 주는 일반 기업으로 전락되는 상황에 도달했다”며 “(정부의 일방적 경영진 선임은) 폐광지역 주민의 생존권을 심각히 저해한 것으로, 도는 경영에 참여하기 위해 강원랜드 조직개편 등 제반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