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개월 동안 찬반 갈등을 빚어온 경기 포천시의 광역화장장 부지가 영북면 야미1리로 확정돼 사업 추진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하지만 화장장 조성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시장 퇴진운동을 벌이기로 하는 등 크게 반발해 갈등이 격화될 전망이다.
포천시 관계자는 “후보지를 놓고 용역평가, 주민동의, 현장조사 등을 종합한 결과 야미1리가 영중면 성동5리를 누르고 추모공원 우선협상마을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포천시는 2014년까지 야미1리 33만㎡ 부지에 900억원을 들여 화장로 10기와 봉안시설, 편의시설 등을 갖춘 광역화장장을 건립할 예정이다. 이 화장장은 포천시뿐 아니라 의정부, 양주, 동두천, 가평, 남양주, 구리 등 경기북부권역 7개 시·군이 공동으로 사용하게 된다. 경기북부 7개 시·군 주민들은 그동안 광역화장장이 없어 멀리 떨어진 고양시 벽제와 성남, 수원, 강원도 춘천 등의 화장장을 이용해왔다.
권대남 포천시 광역장사시설건립위원회 위원장은 “추모공원의 부정적 이미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지의 80%를 공원으로 꾸미고 부대시설 운영을 통해 지역발전을 이끌 방침”이라며 “반대 주민들을 만나 적극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포천시는 야미1리 주민들을 대상으로 마을발전기금 100억원과 매점·식당 등 부대시설 운영권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영북면의 반대 주민들은 “대다수 주민이 원하지 않는 혐오시설을 포천시가 청정 마을에 조성하려 한다”며 격하게 반대했다. 시민단체인 포천발전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 “광역화장장 우선 협상대상지 결정은 법적 근거가 없는 원인무효”라며 “포천시가 사업을 계속 추진할 경우 주민소환제를 통한 시장 퇴진운동을 벌이겠다”고 반발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