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성 조사기관에 서울대 산학협력단 선정
여론조사 찬성 60% 넘으면 12월 개정안 제출
여론조사 찬성 60% 넘으면 12월 개정안 제출
고교 평준화 도입을 위한 강원도교육청(교육감 민병희)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강원도교육청은 27일 고교입시제도 개선(평준화)에 대한 타당성 조사기관으로 서울대 산학협력단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조달청이 운영하는 ‘나라장터’를 통해 연구용역기관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냈더니, 서울대와 가톨릭대의 2개 산학협력단이 응찰을 했다”며 “컴퓨터 추첨을 거쳐 서울대 산학협력단이 선정됐다”고 말했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은 10월 말까지 춘천·원주·강릉 등 3개 비평준화 지역에서 △지역적 특성과 통학거리 △고교 학생 수용 능력 △학교군 설정 △학생 배정 방법 △학교간 교육격차 해소 계획 △비선호 학교 해소방안 등에 대한 연구와 공청회 등을 진행하게 된다.
도교육청은 산학협력단이 타당성 검토 보고서를 제출하면, 이를 토대로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 평준화 도입 찬성비율이 60%를 넘으면, 12월 초 열리는 도의회 본회의에 고교 평준화 관련 개정 조례안을 제출할 방침이다. 조례안이 통과되면, 강원지역에선 현재 중학교 2학년생이 고교에 진학하는 2013학년도부터 고교 평준화가 도입된다.
앞서 도교육청은 26일 고교 평준화 도입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여론조사에 관한 규칙을 제정·공포했다. 쟁점인 평준화 도입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와 관련해, 이 규칙은 ‘학생·학부모·교육전문가·교직원·동문회 등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전화면접법 등으로 한다’고 정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