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억 이익 남기는 특혜”
시민단체 이어 대구시의회도 ‘의혹’ 제기
대구시가 담배인삼공사가 이름을 바꾼 ‘케이티 앤 지’가 도심지에 57층 짜리 고층 건물을 짓도록 양해각서를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민단체에 이어 대구시의원들도 특혜의혹을 제기했다.
대구시의회 강성호(39·서구) 의원은 14일 열린 임시회의에서 “케이티 앤 지가 수창공원에 57층 짜리 고층 건물을 짓도록 대구시가 공원지역을 풀어 중심상업지역으로 바꿔주면 이곳 땅값이 평당 200만원에서 1천만원대로 폭등한다”며 “케이티 앤 지가 수백억원의 이익을 챙기면서 특혜성 난개발이라는 의혹을 받고있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또 “시민들의 여론도 들어보지 않고 서둘러 케이티 앤 지와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따졌다.
대구시의회 김형준(57) 의원도 “케이티 앤 지가 도심지 수창공원 자리에 고층건물을 지으면 주변 지역은 교통체증에 시달리고 투기바람까지 불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대구는 시민 1인당 공원 면적이 2㎡밖에 안된다”며 “수창공원에 고층건물을 허용하지 말고 대구시가 예산 400억원을 들여 직접 공원개발에 나서라”고 주문했다.
김 의원은 “임기 1년을 남겨 둔 조해녕 대구시장이 최근 정책판단을 하면서 방향 감각을 잃고 흔들리는 경향을 보인다”며 “근시안적으로 행정을 펼치지 말고 거시적인 판단을 하라”고 당부했다.
조해녕 대구시장은 “슬럼화에 빠져 위축된 중구 지역경제를 되살리기위해 수창공원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며 “법적 구속력이 없는 양해각서에 구애받지 않고 앞으로 시민들과 시의회의 동의를 얻어 사업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답변했다.
대구시는 지난 11일 옛 연초제조창 자리의 중구 수창동 수창공원의 땅 1만2천여평을 갖고 있는 케이티 앤 지가 주변을 공원으로 개발해 주는 대가로 고층 아파트를 지을 수 있도록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케이티 앤 지는 수창공원 1만2천여평 가운데 7700여평을 중심 상업지역으로 바꿔 54층∼57층 짜리 주상복합 아파트를 짓고 분양할 계획이다. 케이티 앤 지는 대구시가 공원지역을 풀어주는 대가로 주변 4천여평을 공원으로 개발하고, 노인전문 요양시설 등을 세운 뒤 대구시에 기부채납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1999년 대구연초제조창이 문을 닫은 뒤 이곳을 수창공원으로 이름 붙인 뒤 공원구역으로 지정해놨지만, 예산을 마련하지 못해 공원으로 개발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대구시는 지난 11일 옛 연초제조창 자리의 중구 수창동 수창공원의 땅 1만2천여평을 갖고 있는 케이티 앤 지가 주변을 공원으로 개발해 주는 대가로 고층 아파트를 지을 수 있도록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케이티 앤 지는 수창공원 1만2천여평 가운데 7700여평을 중심 상업지역으로 바꿔 54층∼57층 짜리 주상복합 아파트를 짓고 분양할 계획이다. 케이티 앤 지는 대구시가 공원지역을 풀어주는 대가로 주변 4천여평을 공원으로 개발하고, 노인전문 요양시설 등을 세운 뒤 대구시에 기부채납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1999년 대구연초제조창이 문을 닫은 뒤 이곳을 수창공원으로 이름 붙인 뒤 공원구역으로 지정해놨지만, 예산을 마련하지 못해 공원으로 개발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