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 많이 받는 일이라더니 반대서명 하는 거였어?”
“민원내면 보상유리” 이장등 나서 서명받아
“정부가 기준 안밝혀 주민불신·분란 불러” 지적 행정도시 예정지인 충남 연기·공주의 민심이 흉흉해지고 있다. 보상 기준을 놓고 동네마다 ‘~카더라’소문이 유령처럼 떠돌더니 행정도시 건설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이 벌어지고 있으나 이를 ‘보상 많이 받는 일’로 잘못 알고 서명한 주민들도 적지 않아 물의를 빚는 등 불신과 혼란이 커지고 있다. “보상 많이 받자는 거니 이름 쓰라고 해 서명했는디 그게 ‘반대’서명여?” 최근 충남 연기군 동면 용호리 주민 20여명은 마을회관에 모여 행정도시 건설 반대 명부에 자신들이 끼어있다는 소문을 확인하고 황당해 했다. 얼마전 이 마을에서는 주민 몇몇이 ‘건설교통부에 이의신청 민원을 내면 처리하는데 3개월이 걸리므로 민원을 3번 내면 보상 기준을 2006년치 공시지가로 따질 수 있어 보상에 유리하다’며 서명을 받았다. 강아무개씨는 “주민 대부분이 보상을 많이 받자는 마음에서 서명했지 행정도시 원천 반대를 하자는 건 아니었다”며 따져 물었다. 남면 김아무개씨도 동네 이장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대문에 ‘토지공사 실사반대’ 종이를 붙이고 ‘보상 많이 받으려면 꼭 해야 한다’며 권해 서명을 했는데 찬성 쪽 주민들 항의를 받고 알아보니 ‘반대’명부였다고 허탈해 했다.
임아무개(남면 진의리)씨는 “행정도시 오는 걸 반대하는 건 아니지만 공시지가에 웃돈 얹어 보상가가 결정된다면 원주민은 갈 곳도, 살 방법도 없어 충분한 보상을 받기 위해 반대 명부에 이름을 올렸다”며 “설마 행정도시까지 위헌 결정나겠느냐”고 되물었다. 반대 주민 대표 중에는 주민들에게 반대 서명을 종용하면서도 정작 자신은 서명을 안 한 이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나중에 보상받을 때 불이익을 받을까 봐 그런 것’이라는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주민대책위원회는 “주민 대부분이 나이가 많아 충분한 보상을 원하고 있는데 정부가 보상 수준을 먼저 밝히지 않는다면 주민들의 불신과 분란은 점점 커져 충분한 보상 요구를 위한 반대 서명이 행정도시 건설을 뿌리째 흔들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반대대책위 임만수(61·진의리) 이장은 “애초부터 행정도시 건설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수도분할반대 범국민운동본부와 연대해 주민 재산권과 생존권을 위한 투쟁을 하는 것”이라며 “13일 밤 마을회관 책상 위에 행정도시 반대 서명서 1200여장을 놓고 갔는데 14일 아침에 보니 없어져 경찰에 신고했다”고 주장했다. “보상 얘기만 나오면 열 사람 얘기가 다 다르니 안 싸우것슈? 이웃도, 일가도 없슈.” 한 주민은 “‘행정수도 사수’를 외치던 주민들이 ‘보상’에 눈이 멀어 국토균형발전이라는 숲을 태우고 있다”며 혀를 찼다. 연기/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정부가 기준 안밝혀 주민불신·분란 불러” 지적 행정도시 예정지인 충남 연기·공주의 민심이 흉흉해지고 있다. 보상 기준을 놓고 동네마다 ‘~카더라’소문이 유령처럼 떠돌더니 행정도시 건설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이 벌어지고 있으나 이를 ‘보상 많이 받는 일’로 잘못 알고 서명한 주민들도 적지 않아 물의를 빚는 등 불신과 혼란이 커지고 있다. “보상 많이 받자는 거니 이름 쓰라고 해 서명했는디 그게 ‘반대’서명여?” 최근 충남 연기군 동면 용호리 주민 20여명은 마을회관에 모여 행정도시 건설 반대 명부에 자신들이 끼어있다는 소문을 확인하고 황당해 했다. 얼마전 이 마을에서는 주민 몇몇이 ‘건설교통부에 이의신청 민원을 내면 처리하는데 3개월이 걸리므로 민원을 3번 내면 보상 기준을 2006년치 공시지가로 따질 수 있어 보상에 유리하다’며 서명을 받았다. 강아무개씨는 “주민 대부분이 보상을 많이 받자는 마음에서 서명했지 행정도시 원천 반대를 하자는 건 아니었다”며 따져 물었다. 남면 김아무개씨도 동네 이장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대문에 ‘토지공사 실사반대’ 종이를 붙이고 ‘보상 많이 받으려면 꼭 해야 한다’며 권해 서명을 했는데 찬성 쪽 주민들 항의를 받고 알아보니 ‘반대’명부였다고 허탈해 했다.
임아무개(남면 진의리)씨는 “행정도시 오는 걸 반대하는 건 아니지만 공시지가에 웃돈 얹어 보상가가 결정된다면 원주민은 갈 곳도, 살 방법도 없어 충분한 보상을 받기 위해 반대 명부에 이름을 올렸다”며 “설마 행정도시까지 위헌 결정나겠느냐”고 되물었다. 반대 주민 대표 중에는 주민들에게 반대 서명을 종용하면서도 정작 자신은 서명을 안 한 이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나중에 보상받을 때 불이익을 받을까 봐 그런 것’이라는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주민대책위원회는 “주민 대부분이 나이가 많아 충분한 보상을 원하고 있는데 정부가 보상 수준을 먼저 밝히지 않는다면 주민들의 불신과 분란은 점점 커져 충분한 보상 요구를 위한 반대 서명이 행정도시 건설을 뿌리째 흔들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반대대책위 임만수(61·진의리) 이장은 “애초부터 행정도시 건설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수도분할반대 범국민운동본부와 연대해 주민 재산권과 생존권을 위한 투쟁을 하는 것”이라며 “13일 밤 마을회관 책상 위에 행정도시 반대 서명서 1200여장을 놓고 갔는데 14일 아침에 보니 없어져 경찰에 신고했다”고 주장했다. “보상 얘기만 나오면 열 사람 얘기가 다 다르니 안 싸우것슈? 이웃도, 일가도 없슈.” 한 주민은 “‘행정수도 사수’를 외치던 주민들이 ‘보상’에 눈이 멀어 국토균형발전이라는 숲을 태우고 있다”며 혀를 찼다. 연기/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