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난지물재생센터 등 해결책 논의키로
인천은 수도권매립지 피해 놓고 협상 ‘시동’
인천은 수도권매립지 피해 놓고 협상 ‘시동’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을 계기로 십수년 동안 갈등을 빚어온 경기 고양시의 장사시설, 하수·분뇨처리장과 인천시의 수도권매립지 등 주민기피시설 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정부간 협상이 본격화된다.
고양시는 7일 “박원순 서울시장과 최성 고양시장이 올해 안에 면담을 갖고 서울시 운영 주민기피시설 문제의 해결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성창석 고양시 시민소통담당관은 이날 서울시를 방문해, 서울시의 난지물재생센터로 피해를 입어 온 덕양구 현천·덕은동 지역 주민들을 위해 1000㎡ 규모의 종합복지회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사업비 40억원 가운데 절반인 20억원을 내년 서울시 예산에 우선 반영해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고양시는 또 서울시립묘지를 오가는 차량들로 극심한 교통정체를 빚어지는 고양~광탄, 관산~대자간 도로 확장을 위해 130억원의 예산지원을 서울시에 요구했다. 고양시는 이밖에 서울시립승화원 등 장사시설의 식당, 매점 운영권을 지역 주민에게 돌려줄 것과, 난지물재생센터에 고양시민을 50% 이상 채용할 것을 요청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앞서 지난 3일 최성 고양시장과의 전화통화에서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수준에서 해결돼야 한다. 실무진의 보고를 듣고 적극적인 해법을 주문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고양시 관계자는 전했다.
고양시도 이에 따라 지난 2월 행정대집행을 예고했던 난지물재생센터 등 불법시설물 13곳에 대한 고발·소송을 취하하는 한편 불법으로 신·증축한 기피시설들에 대한 용도 변경과 그린벨트 관리계획 변경 등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수도권매립지의 악취로 청라국제도시 등 인근 주민들이 고통을 겪고 있는 인천시도 악취 저감대책과 매립지 매각 보상금 1007억원을 매립지 환경 개선에 재투자할 것을 요구하며 서울시와 본격협상에 나선다.
송영길 인천시장은 지난달 중순께 박원순 당시 서울시장 후보를 만나 수도권매립지 쓰레기의 47%가 서울에서 오는 점을 알리고 해결방안을 협의했으며, 박 시장도 당선되면 적극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1일부터 청라국제도시의 한 아파트를 빌려 거주해온 송 시장은 이날 “이른 시일 안에 박 시장을 만나 매각 보상금 재투자와 서울시의 쓰레기 분담금 문제 등에 대해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환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김영환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