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와 소통창구 신설
현장서 정책제안 등 듣기로
주진우씨등 2~3명 물망
현장서 정책제안 등 듣기로
주진우씨등 2~3명 물망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던 박원순 서울시장이 노동 현안을 전담하는 보좌관직을 신설하기로 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해고노동자 복직 등 노동문제에 무게를 두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23일 서울시 공무원들과 노동계 인사들의 말을 들어보면, 서울시는 김형주 정무부시장 직속으로 노동정책보좌관(가칭)을 다음주까지 임명한다. 박 시장은 이날 오후 이재웅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서울본부 위원장 등을 만나, 서울지하철 노동조합 활동으로 해고된 노조원 34명의 복직 문제에 이어 노동정책보좌관 임명, 서울시 노사민정위원회 설치 등을 논의했다.
노동정책보좌관은 서울시 공무원노조 뿐 아니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노동계로부터 정책 제안을 듣는 일을 한다. 김 정무부시장은 “그동안 서울시에는 노동계와 소통할 창구가 없었는데, 노동 보좌관이 생기면 소통 창구를 단일화하면서 소통을 정례화해 효율적으로 노사문제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노동정책보좌관에는 현재 주진우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을 비롯한 노동정책 전문가 2~3명이 거론되고 있다. 주 위원은 민주노총 비정규사업실장을 지냈고, 박 시장의 선거캠프 정책팀에서 노동분과를 맡았다. 서울시는 출연기관 등을 포함해 6만여명을 고용하는 사용자인데도, 노동 현안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박 시장의 선거운동 때 노동·빈곤정책을 자문하려고 노동계와 진보정당들이 꾸린 노동희망특별위원회는 ‘좋은 시정 만들어가는 노동·진보진영 연석회의’로 틀을 바꿔, 박 시장의 노동정책을 뒷받침하는 활동을 이어가기로 했다.
노동희망특위 위원장을 맡았던 이수호 전 민주노동당 최고위원은 “비정규직과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중앙정부는 제도적 해법을 만들고, 지자체인 서울시는 시가 고용하는 노동자들의 복지를 향상시키고 좋은 일자리를 만든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민간 부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