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상습침수지역 등에 10년간 5조원 투자”
환경연합 “빗물받이 점검 등 맞춤형 대책을”
환경연합 “빗물받이 점검 등 맞춤형 대책을”
지난여름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서울시가 수해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민과 머리를 맞댔다.
시는 7일 서울시청 별관에서 일반시민, 자연재해 전문가 등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후변화 대응 서울시 수방정책 시민대토론회’를 열었다.
주제 발표에 나선 고인석 서울시 물관리기획관은 “서울 전역이 시간당 100㎜ 수준의 강우에 견딜 수 있도록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우려 지역 등에 10년간 5조원을 투자하고 낡은 하수관 교체를 위해 2조1551억원을 투자하겠다”며 도시 수해 안전망 종합개선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염형철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시가 토목공사에 수조 원의 예산을 들이기보단 빗물받이를 상시 점검하는 등 구청 공무원 중심의 지역 맞춤형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가 진행되는 동안 서울시 홈페이지에는 “시민들이 자신들이 사는 곳이 저지대인지 얼마나 비가 왔을 경우 피해를 볼 수 있는지 등을 알지 못하고 있다. 시민들이 사는 지역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는 등의 다양한 의견이 올라오기도 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