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삼척에 민자 발전소 잇따라 추진 논란
환경단체 “현실화땐 8개 밀집…환경 악영향”
환경단체 “현실화땐 8개 밀집…환경 악영향”
강원도 동해안 남부 지역에 잇따라 화력발전소 건립이 추진돼 환경피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강릉시는 31일 한국남동발전㈜·삼성물산㈜과 2020년까지 영동화력발전소 인근 70만㎡에 4조원을 들여 2000㎿급 화력발전소를 준공하는 것을 뼈대로 한 ‘강릉 민자발전 공동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지난 28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또 동해시는 에스티엑스(STX)전력㈜과 최근 북평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북평국가산업단지 37만7283㎡ 부지에 500㎿급 화력발전소 2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에스티엑스전력㈜은 최근 삼척시 근덕면 일대에 7조원을 들여 4000㎿ 규모의 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설명회를 열었다.
동부발전도 최근 기자회견을 열어 삼척시 근덕면 동막리 소방방재산업단지에 6200㎿ 규모의 화력발전소 등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동양그룹 역시 삼척시 적노동 동양시멘트 부지에 2000㎿ 규모의 화력발전소를 세우는 계획을 마련하고, 조만간 사업 타당성 검토 및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 발전소는 2013년 사업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화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현실화되면 강릉과 동해, 삼척 등 강원 동해안 3개 시·군에 모두 8개의 화력발전소가 밀집하게 된다.
화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잇따르자 강원지역에서는 환경오염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림성심대 김태식 교수(보건환경과)는 “자연 스스로 대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환경용량이 있는데, 특정 지역에 밀집적으로 화력발전소가 건립되면 환경용량을 초과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환경단체들도 자치단체들이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이유로 경쟁적으로 화력발전소 유치에 나서고 있으나, 우후죽순처럼 화력발전소가 늘어나면 청정 강원의 이미지가 훼손될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이유진 녹색연합 녹색에너지디자인팀장은 “화력발전소는 미세먼지 등 많은 환경문제를 불러올 것이고 이는 강원도의 미래를 위해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며 “비정상적으로 에너지를 많이 쓰는 것이 문제인데, 이를 화력발전소와 핵발전소 등을 늘려 해결하려는 것은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