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체 꾸려 공익소송 등 모색
강원도 춘천지역 시민들이 다음달 개통 예정인 경춘선 준고속열차 도입을 반대하고 나섰다.
춘천시민연대 등 춘천지역 시민사회단체 25곳은 최근 ‘경춘선 민간위탁 철회와 급행열차 용산 연장운행을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협의체’까지 꾸렸다.
경춘선 시민단체 협의체는 3일 “코레일이 준고속열차에 과도한 요금을 적용하고 기존 급행열차를 일방적으로 없애려 한다”며 “요금도 비싸고 특별히 빠르지도 않은 준고속열차 도입 계획을 철회하고 급행열차를 용산역까지 연장해달라”고 요구했다.
현재 춘천~상봉까지 81㎞를 달리는 경춘선 전철은 정차역이 16개역인 일반전철과 5개역만 서는 급행전철 등 두 노선이 운영된다. 급행열차는 65분, 일반열차는 79분이 걸리며 요금은 똑같이 2600원이다.
반면 코레일이 도입하려는 준고속열차 ‘아이티엑스(ITX)-청춘’은 춘천에서 상봉을 지나 청량리역까지 4.3㎞를 연장해 85.3㎞를 가는데, 64분이 걸리고 요금은 8600원이다. 용산까지 추가 연장하면 74분에 요금은 9800원까지 껑충 뛴다. 코레일은 “준고속열차 도입으로 서울~춘천 간 운행시간이 크게 줄고, 화장실·수유실 등의 설치로 고객 편의가 크게 늘어난다”고 밝혔다.
그러나 경춘선 시민단체 협의체는 “실제 운행 시간은 별 차이가 없지만 요금은 3~4배 늘어난다”며 “현행 급행열차를 준고속열차처럼 연장하는 방안이 시간·비용 모두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달 말까지 이통장연합회, 번영회 등 지역 단체들과 함께 준고속열차 무용론을 알리는 서명 운동과 1인 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코레일이 경춘선의 유지보수업무를 민간 위탁하려는 계획 철회도 촉구해 나갈 계획이다.
유성철 춘천시민연대 사무국장은 “변호사 단체들의 자문을 통해 공익소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이달 말까지 검토한 뒤 시민참여 소송단을 모집하고, 다음달 준고속열차 개통 때까지 시민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탑승 거부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