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경기도-지역주민
3자 참여 단체 만들어
유기농 체험관 등 조성”
대안 토론회에서 제시
3자 참여 단체 만들어
유기농 체험관 등 조성”
대안 토론회에서 제시
정부의 4대강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경기 양평군 양서면 두물머리 유기농지의 보존을 놓고 정부와 유기농민들이 극심한 갈등을 빚자, 3년째 이를 지켜만 보던 양수리 주민들이 적극적인 상생대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양수리 주민들은 지역주민과 농민, 정부(경기도) 등 3자의 소통을 통한 합의를 강조하고, 3자가 참여하는 공익적 단체를 만들어 두물머리를 자연과 사람이 공생하는 체험공간으로 조성·관리할 것을 제안했다.
양서면 주민자치위원회와 양서지역발전협의회, 양수리 상인연합회 등 주민단체 회원들은 17일 오후 양수리 양서복지회관에서 열린 ‘두물머리 상생의 대안모색’ 토론회에 참가해 이런 내용의 주민 의견과 대안을 제시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최성연(52) 양서면 주민자치위원회 지역개발분과장은 “정부의 한강살리기 1공구 두물머리 지구 사업을 근본적으로 찬성한다”고 전제한 뒤, “다만 두물머리 지구는 600년 이상 된 느티나무와 선사시대부터 이어진 나루터, 수도권 2500만명의 상수원이 있는 역사적·문화적 보존가치를 지닌 지역인 만큼 지역 특성에 맞고 주제가 있는 사업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두물머리 지구 활용방안으로 △역사·선사유적박물관 △민물고기(상수원보호) 생태관 △한강 나루터 재현 △유기농 체험관 및 지구 조성 △전망타워 설치 등을 꼽았으며, 국토해양부와 경기도, 양평군에 곧 청원서를 낼 계획이다.
양수리에서 6대째 살고 있는 최씨는 “지역의 변화를 가져올 중요한 일인데도 주민들이 정부와 농민의 싸움 구경만 해서야 되겠냐는 자성이 있었다”며 “주민들 사이에 의견차가 있지만 농민·주민·정부안을 절충해 3자가 ‘윈윈’하는 합의안을 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두물머리 둔치 22.2㏊에는 11개 농가가 유기농사를 지어왔으나 7개 농가가 이전하고 4개 농가만 남아 있다. 농민과 전문가들은 지난해 두물머리 대안연구단을 꾸려 유기농지를 보존하면서 자연보전과 지역발전이 어우러지는 ‘두물머리 상생의 대안모델’을 내놓았다. 반면 정부는 두물머리 둔치의 유기농지를 생태공간으로 꾸미고, 수변공원과 자전거도로, 산책로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양평군 지역언론인 <팔당뉴스>가 최근 양수리 상가 50곳을 방문 조사한 결과, 정부의 4대강 사업 모델에 찬성한 사람은 17명(34%)이었으며, 29명(58%)은 두물머리 대안연구단의 모델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