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330만㎡ 평화산업단지 조성 요청키로
“남 자본·북 노동력 결합…경협·접경지 활성화”
“남 자본·북 노동력 결합…경협·접경지 활성화”
개성공단처럼 남한의 자본·기술과 북한의 자원·노동력이 결합한 평화산업단지를 휴전선 이남지역인 강원도 철원에 건설하는 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8일 오후 강원도 철원군 철의삼각전적지사무소에서 열린 ‘철원 평화산업단지 심포지엄’에서 환영사를 통해 “남북관계가 개선되는 즉시 철원에 평화산업단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세밀하게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 지사는 “남북관계가 얼어붙으면서 접경지역은 폐허가 되었다”며 “(한국전쟁 때)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철의 삼각지대가 새로운 희망과 번영을 이루는 요충지로 다시 태어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행된 심포지엄에서 전문가들은 철원에 조성될 평화산업단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첫 발표자로 나선 김범수 강원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철원 평화산업단지는 통일 한반도 균형 발전의 기반이 되고, 접경지역의 완충 기능도 지닐 것”이라며 “접경지역에 생산기반을 마련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효과도 있다”고 밝혔다.
조동호 이화여대 교수는 철원 평화산업단지를 남북경협의 새로운 모델로 제시했다. 조 교수는 “개성공단은 인력 및 노무관리의 한계, 통신·통행·통관 등 ‘3통 한계’, 원산지 규정 등의 한계가 있다”며 “개성공단의 대안적 경협모델로 남쪽에 평화산업단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진기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의 노동력과 남한의 자본이 결합된 노동집약적 임가공산업 육성과 신기술·지역특화산업의 부가가치 제고가 가능한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며 “철원지역이 갖고 있는 지리적 여건과 플라즈마 산업 등과 연계된 신산업이 철원평화산업단지에 육성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원도는 이날 심포지엄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토대로 정부에 평화산단 조성을 정책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할 방침이다.
강원도 출신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도 관련 법안 마련 및 개정을 추진하고, 이를 총선과 대선 출마자들의 공약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철원 평화산업단지는 북한에 조성된 개성공단의 반대 개념으로,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 남쪽 지역 330만㎡에 조성할 계획이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집주인, 월세로 내놔도 잘나가는데 굳이 왜…
■ “황우석 제자들도 논문 조작…일부는 학위 받아 교수까지”
■ 박근혜 “지역구 불출마” 밝히며 눈물 훔쳐
■ 날씨 타는 박태환 ‘장대비도 괜찮아’
■ 한국 호랑이와 시베리아 호랑이는 한 핏줄
강원도 출신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도 관련 법안 마련 및 개정을 추진하고, 이를 총선과 대선 출마자들의 공약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철원 평화산업단지는 북한에 조성된 개성공단의 반대 개념으로,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 남쪽 지역 330만㎡에 조성할 계획이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집주인, 월세로 내놔도 잘나가는데 굳이 왜…
■ “황우석 제자들도 논문 조작…일부는 학위 받아 교수까지”
■ 박근혜 “지역구 불출마” 밝히며 눈물 훔쳐
■ 날씨 타는 박태환 ‘장대비도 괜찮아’
■ 한국 호랑이와 시베리아 호랑이는 한 핏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