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시 대추리 일대 미군기지 확장공사 현장. 한가운데 흙을 돋운 지역이 옛 대추리 마을 황새울 들판이다. 평택/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토요판] 커버스토리
‘동북아 최대’ 평택미군기지
‘동북아 최대’ 평택미군기지
‘가족동반 3년 근무’ 계획은
미 국방예산 삭감으로 불투명
한국 정부가 내부 반발에도
건설사 수익보전을 약속했다 5일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원정삼거리를 지나 내리에 들어서자 거대한 공사판으로 바뀐 ‘황새울’이 모습을 드러낸다. 미군 헬기들이 뜨고 내리는 ‘캠프 험프리스’와 진위천 사이의 너른 들녘에는 대형 크레인들이 들어섰고 그 사이를 공사 차량들이 분주히 오간다. 130여가구가 살던 ‘대추리’가 흔적도 없이 사라진 곳에는 미군 기름탱크가 우뚝 들어섰다. 2007년 11월 미군기지 이전 기공식 이후 대추리 안뜰에는 1812가구분의 미군 막사 6동이 들어섰고, 미군 독신장교 숙소 384가구와 미군 가족 아파트 2427가구가 신축중이다. 한미연합사령부·유엔군사령부 등이 들어설 내리 쪽 497만㎡는 3~4m 높이의 성토작업이 끝났고 미 2사단 사령부 등이 옮겨올 도두리 쪽 596만㎡는 성토작업중이다. 1952년 이후 ‘캠프 험프리스’(K-6)에는 미 2사단의 핵심인 미2전투항공여단이 주둔해왔다. 공사가 끝나면 547만㎡인 기지 규모는 1514만㎡로 3배 가까이 늘어난다. 2016년까지 용산과 동두천 등 전국 50여개 미군기지 중 90%가 이전하면 미군 수는 5000여명에서 4만4000여명으로 3만9000여명이 더 늘어난다. 인근의 ‘오산 미공군기지’(K-55)도 확장공사중이다. 미 제7공군사령부이며 제51전투비행대의 운용기지인 이곳은 공사가 끝나면 960만㎡인 기지 규모는 1171만㎡로, 주둔 미군 수는 7000여명에서 1만여명이 더 늘어난 1만7000여명이 된다. 확장공사가 끝나는 2016년이면 ‘캠프 험프리스’는 4만4000여명의 미군과 가족 등 최대 8만여명이 거주할 명실공히 ‘동북아 최대 미군기지’로 탈바꿈된다. 이는 평택 전체 주민 39만명의 5분의 1 수준이다. 미군 가족들이 이용할 초·고등학교와 골프장, 병원, 쇼핑몰 등의 각종 편의시설 공사도 한창이다. 기지 밖에서는 미군의 국내외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주요 도로를 잇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평택역과 평택항을 잇는 평택항산업철도 중 평택역과 기지 사이 1단계 구간 15㎞가 내년에 개통된다. 경부·서해안고속도로와 기지를 잇는 평택~화성고속도로 20.7㎞는 개통됐다.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의 한강 이남 재배치를 확정하고 미군기지 확장 공사에 나선 이후 미국은 지난해 미군의 ‘가족동반 3년 근무’라는 미군 복무정상화 계획을 추진했다. 그러나 재정 적자인 미국이 3500억달러의 국방예산 삭감 계획을 밝히면서 이 계획은 불투명해졌다. 9600억원을 들여 2427가구의 미군 임대아파트를 지으려던 삼성물산은 임대료 수입기간 보장을 요구했고 미군이 거부하자, 한국 정부가 내부 반발을 무릅쓰고 이를 보증하고서야 올해 공사에 착공한다. 미국은 주한미군의 평택 재배치를 통해 전략적 유연성 확보에 성공했다. 주한미군의 동북아 등 분쟁지역에 대한 자유로운 배치라는 군사안보전략을 관철시켰으나 한국이 제3국 분쟁에 연루될 위험성은 더 커졌다. 2006년 한·미 양국의 외무장관들은 ‘한국민의 의지와 상관없이 한국이 동북아 분쟁에 연루될 위험은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으니 주한미군의 평택 재배치에 따른 안보 위험부담의 우려를 완전 불식시키지는 못했다. 김종대 ‘디펜스21플러스’ 편집장은 “평택기지는 미군이 인계철선을 포기하고 신속대응군 체제로 바꿔 동북아에서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하자는 것”이라며 “이는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한국군이 주도하고 미군은 후방에서 지원하는 역할 변경”이라고 말했다. ‘캠프 험프리스’의 확장에도 실제 주둔 미군의 절반 정도는 영외거주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소음 등의 환경피해와 미군범죄 증가에 대한 우려도 일고 있다. 이철순 평택시 한미협력사업단장은 “문화적 갈등과 미군범죄의 증가도 고민할 문제”라며 “한-미 사이 교류협력의 장을 늘려 미군을 평택시민 속에 한 가족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평택/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암컷한테 거부당한 수컷 초파리 ‘에이 술이나 마시자’
■ 박근령 “자유선진당 출마…언니 박근혜에게 말 못해”
■ ‘야동’ 꼼짝마…피부색·신음소리 식별해 자동차단
■ 박주영, 2022년까지 병역 연기
■ 정치인들, ‘머리 나쁜’ 새 만큼만 따라 해라
미 국방예산 삭감으로 불투명
한국 정부가 내부 반발에도
건설사 수익보전을 약속했다 5일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원정삼거리를 지나 내리에 들어서자 거대한 공사판으로 바뀐 ‘황새울’이 모습을 드러낸다. 미군 헬기들이 뜨고 내리는 ‘캠프 험프리스’와 진위천 사이의 너른 들녘에는 대형 크레인들이 들어섰고 그 사이를 공사 차량들이 분주히 오간다. 130여가구가 살던 ‘대추리’가 흔적도 없이 사라진 곳에는 미군 기름탱크가 우뚝 들어섰다. 2007년 11월 미군기지 이전 기공식 이후 대추리 안뜰에는 1812가구분의 미군 막사 6동이 들어섰고, 미군 독신장교 숙소 384가구와 미군 가족 아파트 2427가구가 신축중이다. 한미연합사령부·유엔군사령부 등이 들어설 내리 쪽 497만㎡는 3~4m 높이의 성토작업이 끝났고 미 2사단 사령부 등이 옮겨올 도두리 쪽 596만㎡는 성토작업중이다. 1952년 이후 ‘캠프 험프리스’(K-6)에는 미 2사단의 핵심인 미2전투항공여단이 주둔해왔다. 공사가 끝나면 547만㎡인 기지 규모는 1514만㎡로 3배 가까이 늘어난다. 2016년까지 용산과 동두천 등 전국 50여개 미군기지 중 90%가 이전하면 미군 수는 5000여명에서 4만4000여명으로 3만9000여명이 더 늘어난다. 인근의 ‘오산 미공군기지’(K-55)도 확장공사중이다. 미 제7공군사령부이며 제51전투비행대의 운용기지인 이곳은 공사가 끝나면 960만㎡인 기지 규모는 1171만㎡로, 주둔 미군 수는 7000여명에서 1만여명이 더 늘어난 1만7000여명이 된다. 확장공사가 끝나는 2016년이면 ‘캠프 험프리스’는 4만4000여명의 미군과 가족 등 최대 8만여명이 거주할 명실공히 ‘동북아 최대 미군기지’로 탈바꿈된다. 이는 평택 전체 주민 39만명의 5분의 1 수준이다. 미군 가족들이 이용할 초·고등학교와 골프장, 병원, 쇼핑몰 등의 각종 편의시설 공사도 한창이다. 기지 밖에서는 미군의 국내외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주요 도로를 잇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평택역과 평택항을 잇는 평택항산업철도 중 평택역과 기지 사이 1단계 구간 15㎞가 내년에 개통된다. 경부·서해안고속도로와 기지를 잇는 평택~화성고속도로 20.7㎞는 개통됐다.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의 한강 이남 재배치를 확정하고 미군기지 확장 공사에 나선 이후 미국은 지난해 미군의 ‘가족동반 3년 근무’라는 미군 복무정상화 계획을 추진했다. 그러나 재정 적자인 미국이 3500억달러의 국방예산 삭감 계획을 밝히면서 이 계획은 불투명해졌다. 9600억원을 들여 2427가구의 미군 임대아파트를 지으려던 삼성물산은 임대료 수입기간 보장을 요구했고 미군이 거부하자, 한국 정부가 내부 반발을 무릅쓰고 이를 보증하고서야 올해 공사에 착공한다. 미국은 주한미군의 평택 재배치를 통해 전략적 유연성 확보에 성공했다. 주한미군의 동북아 등 분쟁지역에 대한 자유로운 배치라는 군사안보전략을 관철시켰으나 한국이 제3국 분쟁에 연루될 위험성은 더 커졌다. 2006년 한·미 양국의 외무장관들은 ‘한국민의 의지와 상관없이 한국이 동북아 분쟁에 연루될 위험은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으니 주한미군의 평택 재배치에 따른 안보 위험부담의 우려를 완전 불식시키지는 못했다. 김종대 ‘디펜스21플러스’ 편집장은 “평택기지는 미군이 인계철선을 포기하고 신속대응군 체제로 바꿔 동북아에서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하자는 것”이라며 “이는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한국군이 주도하고 미군은 후방에서 지원하는 역할 변경”이라고 말했다. ‘캠프 험프리스’의 확장에도 실제 주둔 미군의 절반 정도는 영외거주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소음 등의 환경피해와 미군범죄 증가에 대한 우려도 일고 있다. 이철순 평택시 한미협력사업단장은 “문화적 갈등과 미군범죄의 증가도 고민할 문제”라며 “한-미 사이 교류협력의 장을 늘려 미군을 평택시민 속에 한 가족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평택/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암컷한테 거부당한 수컷 초파리 ‘에이 술이나 마시자’
■ 박근령 “자유선진당 출마…언니 박근혜에게 말 못해”
■ ‘야동’ 꼼짝마…피부색·신음소리 식별해 자동차단
■ 박주영, 2022년까지 병역 연기
■ 정치인들, ‘머리 나쁜’ 새 만큼만 따라 해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