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초·감시장비로 대체
연말까지 철거 마무리
자전거길·산책로 조성
철새 등 보호대책 지적
연말까지 철거 마무리
자전거길·산책로 조성
철새 등 보호대책 지적
1970년 무장간첩 침입에 대비해 설치된 한강 하구 철책선이 40여년 만에 일부 철거됐다. 한강 둔치의 개발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는 이들도 있지만, 주요 철새도래지인 장항습지 등 한강 하구의 생태계 교란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경기 김포시와 군부대는 철거 대상인 김포시 고촌읍 전호리(서울시 경계)~일산대교까지 9.7㎞ 가운데 먼저 상류 쪽 전호리~김포대교 1.3㎞의 철책 제거 작업을 9일 오전 시작했다. 철거작업은 4~5일 걸릴 것으로 보인다. 김포시는 철책을 제거한 뒤 한강 둔치에 257억원을 들여 자전거도로와 산책로, 다목적 광장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한강 건너편 고양시 구간에서는 행주대교~일산대교 12.9㎞가 철거된다. 고양시와 군부대는 오는 19일 한강철책 제거 기념행사를 연 뒤, 1차로 이달 말까지 행주대교~김포대교 3.6㎞를 철거하기로 했다. 고양시는 이곳에 한강생태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김포·고양시와 군부대는 나머지 김포대교~일산대교 구간(김포 쪽 8.4㎞, 고양 쪽 9.3㎞)은 첨단 감시장비 설치를 끝내는 대로 올해 안에 철거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고양시는 2차 철거 대상인 장항습지(9.3㎞)가 습지보호지역으로서 재두루미·고라니 등 야생동물의 집단서식지인 점을 고려해 생태계를 보호할 대책을 마련하고 시민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일산대교부터 하류 쪽인 김포시 월곶면 보구곶리까지의 철책은 계속 유지된다.
김포·고양시와 군부대는 2008년 12월 지역내 한강 철책을 걷어내는 대신 경계보초 시설과 감시장비,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상황실 등을 설치하기로 협약을 맺었다. 이후 첨단장비 도입, 부대 이전, 예산 확보 등의 문제로 철거 시기가 2년쯤 늦춰졌다. 장비 설치와 부대 이전에 드는 비용은 김포시가 277억원, 고양시가 146억원을 부담한다.
김포시 관계자는 “철책 때문에 접근이 불가능했던 한강을 40년 만에 시민들의 공간으로 돌려주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박평수 고양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장은 “철책 제거로 시민의 접근성이 좋아진 것은 환영하지만 멸종위기종인 재두루미·큰기러기 등의 서식지에 대한 보호 대책이 없다”며 “특히 행주대교 쪽 구간의 철책을 모두 제거할 경우 고라니·너구리 같은 포유류들이 도로에서 죽는 사고(로드킬)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김포·고양/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출산 뒤 “피곤해” 거부…남편의 폭발 “내가 짐승이야?”
■ 부모가 싸울 때마다 아이는 떨고 있었다
■ ‘어릴적 옛집이 그대로’…구글어스로 가족을 찾은 청년
■ 검찰, ‘불법사찰’ 진경락 구속영장 청구
■ 연해주에 ‘표범 나라’ 생겼다
■ 출산 뒤 “피곤해” 거부…남편의 폭발 “내가 짐승이야?”
■ 부모가 싸울 때마다 아이는 떨고 있었다
■ ‘어릴적 옛집이 그대로’…구글어스로 가족을 찾은 청년
■ 검찰, ‘불법사찰’ 진경락 구속영장 청구
■ 연해주에 ‘표범 나라’ 생겼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