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쓰레기소각장시민대책위원회 장혁수 위원장이 24일 일산동구 백석동 쓰레기소각장 안에서 비산재 이송관을 거치지 않고 외부에 유출된 비산재 포대를 가리키고 있다.
‘비산재’ 기준치 4.5배
일산화탄소도 과다 배출불가 ‘노정가스’
한달새 136회 노출 공장 곳곳 ‘잿자루’
문 활짝 연 채 작업 경기 고양시가 1129억원을 들여 2010년 3월 준공한 일산동구 백석동의 쓰레기소각장에서 지정폐기물인 비산재(쓰레기를 태우고 남은 재)가 최근 한달 동안 설계기준치보다 4.5배 많은 하루 평균 16.5t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절대 배출돼서는 안 되는 유해물질인 열분해가스(노정가스)도 1·2호기에서 한달 새 136차례나 발생했으며, 굴뚝에서 측정한 일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의 배출량도 법적 기준치를 여러 차례 넘어선 것으로 확인돼 소각장 노동자와 인근 주민의 건강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4일 설계기준치인 ‘소각용량 300t’에 대한 성능 검증이 30일째 진행중인 고양시 소각장에는 비산재로 가득 찬 자루들이 공장 곳곳에 놓여 있고, 매캐한 냄새와 먼지 속에 직원들이 문을 활짝 연 채 작업하고 있었다. 소각장에서 불과 10여m 떨어진 체육시설에서는 청소년 10여명이 농구경기에 한창이었다. 고양시쓰레기소각장시민대책위원회가 이날 공개한 소각장 운전 자료를 보면, 3월26일~4월23일 2개의 소각로에서 하루 1만72~2만3274㎏의 비산재가 발생해 설계기준치인 3686㎏(1.26%)보다 3~6배 이상 배출됐다. 장혁수 시민대책위원장은 “다이옥신·중금속 등이 포함된 위험성 폐기물인 비산재와 열분해가스가 공해방지시설을 거치지 않은 채 외부로 자주 유출돼, 33명의 비정규직 노동자뿐 아니라 인근 아파트와 공원,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박평수 고양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장은 “운영사는 설비 부실 등 문제점을 숨기려 들지 말고 비산재에 대한 개선책이 마련될 때까지 소각장 가동을 잠정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운영사인 한국환경공단의 배선원 운영정비팀장은 “비산재는 설계 잘못으로 초과 배출돼 안전하게 처리되고 있다”며 “300t 이상씩 30일 연속 가동해본 결과 크게 문제가 없어 시설이 안정화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고 반박했다. 고양시는 검증기간인 다음달 4일까지 소각장내 공기질과 비산재의 성분 분석을 전문기관에 맡기는 한편, 시공사인 포스코건설에 비산재와 열분해가스 하자보수를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글·사진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일산화탄소도 과다 배출불가 ‘노정가스’
한달새 136회 노출 공장 곳곳 ‘잿자루’
문 활짝 연 채 작업 경기 고양시가 1129억원을 들여 2010년 3월 준공한 일산동구 백석동의 쓰레기소각장에서 지정폐기물인 비산재(쓰레기를 태우고 남은 재)가 최근 한달 동안 설계기준치보다 4.5배 많은 하루 평균 16.5t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절대 배출돼서는 안 되는 유해물질인 열분해가스(노정가스)도 1·2호기에서 한달 새 136차례나 발생했으며, 굴뚝에서 측정한 일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의 배출량도 법적 기준치를 여러 차례 넘어선 것으로 확인돼 소각장 노동자와 인근 주민의 건강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4일 설계기준치인 ‘소각용량 300t’에 대한 성능 검증이 30일째 진행중인 고양시 소각장에는 비산재로 가득 찬 자루들이 공장 곳곳에 놓여 있고, 매캐한 냄새와 먼지 속에 직원들이 문을 활짝 연 채 작업하고 있었다. 소각장에서 불과 10여m 떨어진 체육시설에서는 청소년 10여명이 농구경기에 한창이었다. 고양시쓰레기소각장시민대책위원회가 이날 공개한 소각장 운전 자료를 보면, 3월26일~4월23일 2개의 소각로에서 하루 1만72~2만3274㎏의 비산재가 발생해 설계기준치인 3686㎏(1.26%)보다 3~6배 이상 배출됐다. 장혁수 시민대책위원장은 “다이옥신·중금속 등이 포함된 위험성 폐기물인 비산재와 열분해가스가 공해방지시설을 거치지 않은 채 외부로 자주 유출돼, 33명의 비정규직 노동자뿐 아니라 인근 아파트와 공원,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박평수 고양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장은 “운영사는 설비 부실 등 문제점을 숨기려 들지 말고 비산재에 대한 개선책이 마련될 때까지 소각장 가동을 잠정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운영사인 한국환경공단의 배선원 운영정비팀장은 “비산재는 설계 잘못으로 초과 배출돼 안전하게 처리되고 있다”며 “300t 이상씩 30일 연속 가동해본 결과 크게 문제가 없어 시설이 안정화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고 반박했다. 고양시는 검증기간인 다음달 4일까지 소각장내 공기질과 비산재의 성분 분석을 전문기관에 맡기는 한편, 시공사인 포스코건설에 비산재와 열분해가스 하자보수를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글·사진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