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빗물 우회 방안 내놔
계획 확정돼도 설계·시공 3년
대심도터널보다 경제적 판단
계획 확정돼도 설계·시공 3년
대심도터널보다 경제적 판단
15일 폭우에 서울 강남역 주변이 침수되자, 서울시가 서울교대역~강남고속터미널 구간에 하수관거(하수도에 사용하는 도관)를 신설해 강남역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분산시키는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을 내놨다. 이 계획이 확정되더라도 설계·시공에 3년이 걸리므로, 공사가 마무리되기 전까지는 집중호우가 쏟아질 경우 강남역 주변 침수가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가 16일 내놓은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을 보면, 교대역~고속터미널 구간에 지름 7m, 길이 900m의 관거를 새로 묻고, 서초빗물펌프장을 증설하고 용허리공원에 1만5000t 규모의 빗물 저류조를 만드는 방안 등이 뼈대다.
권기욱 서울시 물관리정책관은 “교대역~고속터미널 하수관거를 신설하는 방안은 도로에 비유하면, 차량이 한꺼번에 몰리는 큰 도로의 숨통을 틔우기 위해 우회도로를 새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다음달 강남역 침수대책을 확정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설계에 1년, 시공에 2년 등 3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동안 시가 검토해온 강남역 침수대책은 △빗물저류 배수시설(대심도터널) 설치 △주변 땅을 사들인 뒤 반포천 복개구간 단면 확장 △빗물저류시설 설치 △하수관거 유역분리 및 저지대 유역 시설 확충 등이다. 시는 하수관거 유역분리 방안은 총 사업비가 607억원으로 빗물저류 배수시설(1317억원), 물저류시설(1500억원)을 설치하는 것에 견줘 경제적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2010년 집중호우로 강남역이 침수되자 지하 40m에 지름 7.5m 길이 3.1㎞ 터널형 대형관을 묻어 강남역에 몰리는 빗물을 한강으로 직접 방출하는 빗물저류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1317억원이 넘는 공사비와 유지관리비가 과다하다’는 지적에 따라 이 방안을 사실상 접었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오전 열린 긴급수방회의에서 “가용재원에 한계가 있고 공사기간도 고려해야 한다”며 “도로가 일부 잠기는 것은 문제지만 양천, 사당, 신월동 등 주택가 침수를 막아 인명피해가 없도록 하는 것부터 신경써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고 서울시 관계자가 전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