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태백·포항 등 백지화 요구
“영향권인 우리도 이해 당사자”
“영향권인 우리도 이해 당사자”
정부가 강원도 삼척시와 경북 영덕군을 새로운 원자력발전소 예정구역으로 지정 고시하자, 원전 건설에 반대하는 여론이 예정지는 물론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강원도 동해시의회는 26일 삼척 원전 건설계획 백지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채택하고 “삼척 원전 고시지역과 불과 20㎞ 안팎의 영향권에 있는 동해시민도 중대한 이해 당사자”라며 “오랜 역사와 정서를 함께 나눠온 이웃인 삼척시의 원전 유치 계획에 깊은 유감과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이어 “정부가 당초 12월로 예정된 원전 건설 확정고시를 3개월 앞당겨 기습고시한 것은 시민을 무시한 비민주적인 횡포”라며 “삼척 원전 건설계획 백지화 요구가 받아 들여지지 않을 경우 동해시민은 생존권 차원에서 강력한 반대운동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앞서 삼척 도계읍·가곡면과 이웃한 태백에서도 시민단체인 태백희망네트워크가 성명을 내어 “일본 후쿠시마 사고로 세계 각국이 탈원전을 선언하고 있다”며 “생태 파괴적이며 반인륜적인 원전 증설 계획을 즉각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척 하장면과 인접한 정선군에서는 정선시민연대와 정선민중연대, 도암댐 해체를 통한 동강살리기운동본부, 정선문화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삼척 원전 반대운동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기희 정선문화연대 대표는 “삼척 원전 문제는 삼척만의 문제가 아니라 강원도를 넘어 전 국민의 생존권이 걸린 문제”라며 “삼척 원전 반대운동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경상도에서도 원전 예정지구로 지정된 영덕군과 인접지역에서 원전 건설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정부의 원전 예정구역 지정 고시와 관련해 성명을 내어 “영덕·삼척 신규원전 후보지는 2024년 이후에나 추진될 신규원전을 위한 부지로 2010년 발표된 5차 전력수급계획에도 없는 원전을 위한 지역”이라며 “짓고 보자는 식의 원전 정책은 국민을 파국으로 내몰 수 있다”고 비판했다.
포항에서는 이미 올해 초 민주통합당, 민주노총, 포항환경운동연합 등이 ‘영덕핵발전소 반대 포항시민연대’를 꾸리고 원전 건설 반대투쟁을 예고한 바 있다.
한편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이날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30년 수명이 끝난 뒤 연장 가동을 했다가 지난 3월 중대사고로 가동이 중지됐던 고리원전 1호기를 지난달 정부가 다시 가동을 했는데도 부산시와 부산시의회는 안전대책을 세우기는커녕 주민 의견조차 듣지 않고 방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 단체는 허남식 부산시장한테 고리원전 1호기 재개동에 대한 입장을 묻는 공개질의서를 전달했다. 삼척 부산/박수혁 김광수 기자 ps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천안함 사건 해역서 기뢰폭발” 첫 증언 나왔다
■ 안철수 봉하마을 방문 “사람을 사랑하셨습니다”
■ 김무성 “노무현, 6월항쟁 참여 안했다” 발언 논란
■ “우리 회사 팔아 세입 메우겠다는 건가요” 분통
■ 고리원전 소방대원들, 뇌물에 마약까지…
■ ‘안철수 멘토’ 윤여준 전 장관, 문재인 캠프 합류
■ [화보] 싸이, ‘강남스타일 신드롬’ 일으키며 입국
■ “천안함 사건 해역서 기뢰폭발” 첫 증언 나왔다
■ 안철수 봉하마을 방문 “사람을 사랑하셨습니다”
■ 김무성 “노무현, 6월항쟁 참여 안했다” 발언 논란
■ “우리 회사 팔아 세입 메우겠다는 건가요” 분통
■ 고리원전 소방대원들, 뇌물에 마약까지…
■ ‘안철수 멘토’ 윤여준 전 장관, 문재인 캠프 합류
■ [화보] 싸이, ‘강남스타일 신드롬’ 일으키며 입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