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비 5580만원에 통신비 7만원
주민청구로 올라온 ‘대구시 무상급식 조례’를 아무런 강제성이 없도록 수정 통과시켜 비판을 받고 있는 대구시의회가 내년도 의정비를 3.3% 올리기로 한 데 이어 의원들 통신비 요금까지 시예산으로 지원하기로 해 시민단체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대구시 의정비심의위원회는 지난 25일 제3차 회의를 열어, 내년도 의정비를 3.3%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내년도 대구시의원들은 올해 5400만원보다 180만원 많은 5580만원의 의정비를 받게 된다. 대구시의회는 또 이달부터 전체 33명 의원에게 다달이 7만원씩 통신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그동안 대구시의회는 의장에게만 통신비를 지원했지만, 이번에 전체 의원으로 지원을 확대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은재식 우리복지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의정비 인상이든 통신비 요금 지원이든 무조건 안 된다는 것은 아니지만, 과연 의정비를 올려달라고 시민들에게 요구할 정도로 스스로 당당한지 묻고 싶다”며 “3만여명의 시민 서명으로 제출한 무상급식 조례안을 얼렁뚱땅 처리한 것에 대해 반성하고 비판받아야 할 시의회가 오히려 의정비를 올리겠다니 한심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재술 대구시의회 의장은 “대구시의회는 지난 5년간 의정비를 동결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조금 인상하자는 의견이 많았다”며 “특히 의원들은 공적으로 휴대폰을 많이 쓰고 있어 통신비 지원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삼우 폭풍성장 뒤에는 ‘사돈’ 현대차가 있다
■ 성폭행 당한 딸 아빠에게 선처 호소를?
■ 문재인·안철수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 검토
■ 말바꾼 대통령 아들 6억 배달시점도 ‘수상’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 삼우 폭풍성장 뒤에는 ‘사돈’ 현대차가 있다
■ 성폭행 당한 딸 아빠에게 선처 호소를?
■ 문재인·안철수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 검토
■ 말바꾼 대통령 아들 6억 배달시점도 ‘수상’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