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하키·스노보드 경기장 놓고
원주·횡성-강릉·평창 1년여 다툼
강릉지역 대학서도 입지 선정 논란
원주·횡성-강릉·평창 1년여 다툼
강릉지역 대학서도 입지 선정 논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 재배치를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국회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 확산되고 있다. 화합을 기치로 내건 겨울올림픽이 오히려 지역내 갈등을 일으킨다는 비판이 나온다.
원창묵 강원도 원주시장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 지원 특별위원회 제3차 회의에 출석해 아이스하키 경기장 원주 재배치를 요구했다. 지난 1일에는 김진선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장을 만나 경기장 재배치를 요구했으며, 8일에는 강원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문제를 공론화시킬 계획이다.
아이스하키 경기장 재배치 문제는 지난해 7월 평창이 겨울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이후 불거졌으며, 1년이 넘도록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횡성에서도 지역 주민들이 평창에서 열릴 예정인 스노보드 경기를 횡성에서 개최할 수 있도록 경기장을 재배치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김진선 위원장이 경기장 재배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조직위가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스위스에 있는 국제올림픽위원회 본부를 직접 방문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뿐 아니라 올림픽 개최도시인 강릉과 평창은 경기장 재배치는 절대로 불가능하다는 태도여서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갈등은 개최도시 안에서도 불거지고 있다. 강릉에서는 여자 아이스하키 경기장 유치를 놓고 지역 대학 사이에 공정성 시비가 벌어지고 있다. 여자 아이스하키 경기장은 올림픽 유치 당시에는 강릉영동대에 지을 계획이었으나 조직위가 부지가 좁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관동대에 건설하기로 계획을 바꿨다.
강릉원주대와 강릉영동대는 이런 조직위의 결정에 공동 보도자료를 내어 “조직위가 합리적 절차나 투명한 과정을 배제한 채 편파적으로 입지를 선정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유성철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무처장은 “균형·흑자·환경 등 올림픽 원칙들이 지켜지지 않아 지역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며 “대회 유치에만 혈안이 돼서 지역내 의견 수렴 등의 준비과정을 소홀히 한 결과”라고 비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문-안 ‘TV토론’에 쏠리는 눈
■ 1944년 팔라우섬 끌려간 조선인들 2명중 1명 고향 못보고 눈 감았다
■ “이산화탄소→이산화가스, 산소→산소가스”…박근혜, 토론 루저?
■ 큰손들이 주무른 ‘역대 최대 돈잔치’
■ 새누리 “쇼…사기극…꼼수…야합” 무차별 비난공세
■ 중국인들 “누가되든 부정부패만 하지 마라”
■ [화보] 천연기념물 지정 ‘경주개 동경이’
■ 문-안 ‘TV토론’에 쏠리는 눈
■ 1944년 팔라우섬 끌려간 조선인들 2명중 1명 고향 못보고 눈 감았다
■ “이산화탄소→이산화가스, 산소→산소가스”…박근혜, 토론 루저?
■ 큰손들이 주무른 ‘역대 최대 돈잔치’
■ 새누리 “쇼…사기극…꼼수…야합” 무차별 비난공세
■ 중국인들 “누가되든 부정부패만 하지 마라”
■ [화보] 천연기념물 지정 ‘경주개 동경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