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2사단 일부 잔류 검토
시의회 등 10만 서명운동 나서
시의회 등 10만 서명운동 나서
정부와 주한미군이 2016년까지 경기 평택으로 이전하기로 한 미2사단 일부를 연합군 체제로 개편해 동두천에 잔류시키는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해당 지역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오세창 경기 동두천시장과 동두천시의회, 시민 200여명은 7일 오후 미2사단 앞에서 ‘동두천 미군기지 반환촉구 범국민 10만명 서명운동’ 선포식을 열고, “정부는 당초 계획대로 미2사단 기지 전부를 평택으로 이전하라”고 촉구했다.
지난달 꾸려진 동두천시의회 ‘동두천 미군기지 반환촉구 비상대책특별위원회’는 “동두천은 60년 동안 국가안보를 위해 전체 면적의 42%를 주한미군에게 내주고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 등으로 심각한 경제위기를 겪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는 미군기지 이전 대상지인 평택에 예산 18조원을 지원하면서 동두천에는 미군기지 잔류를 검토하고 주민의 생존권 대책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미2사단 터 전부를 동두천에 반환할 것과, 평택시와 동등한 예산지원 등을 요구했다. 시의회는 이달 중 정부와 대선후보들에게도 건의문을 보낼 계획이다.
참석자들은 선포식을 마치고 보산사거리에서 지행역까지 2㎞를 돌며 시민에게 서명을 받았다. 내년 1월부터는 전국 순회 서명운동에 나설 예정이다. 임상오 비상대책특별위원장은 “미2사단 터에 대학과 기업을 유치하는 등 발전종합계획을 세워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데 미군부대 잔류설이 나와 시민들이 분노와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미2사단은 이와 관련해 “코멘트할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앞서 미 육군은 지난달 워싱턴주에 있는 제23화학대대를 내년 3월까지 의정부 캠프 스탠리에 배치한다고 발표해, 2016년 반환 뒤 대학(건국대) 캠퍼스를 조성하려는 지자체와 시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은 9월 ‘반환공여지 불평등 지원정책 전환을 위한 정책수립 연구’ 보고서에서, 미군기지 주둔으로 인해 동두천시는 19조4587억원, 의정부와 파주시는 각각 6조9569억원과 10조4785억원의 지역경제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산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특검, 경호처 ′자료조작 정황′ 포착
■ 패배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롬니…CNN발표 100분뒤에야 인정 연설
■ 화마 휩쓸린 ‘장애남매’ 누나 끝내 숨져
■ “투표 최소한의 의사표시, 비용 든다고 막다니…”
■ “노조위원장 때려잡아야”…현대그룹 임원들, 노조 파괴 논의
■ 출소 석달만에 또 절도 17살 소년 “때리는 사람 없는 쉼터 있었으면…”
■ [화보] 문-안 후보, 단일화 회동
■ 특검, 경호처 ′자료조작 정황′ 포착
■ 패배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롬니…CNN발표 100분뒤에야 인정 연설
■ 화마 휩쓸린 ‘장애남매’ 누나 끝내 숨져
■ “투표 최소한의 의사표시, 비용 든다고 막다니…”
■ “노조위원장 때려잡아야”…현대그룹 임원들, 노조 파괴 논의
■ 출소 석달만에 또 절도 17살 소년 “때리는 사람 없는 쉼터 있었으면…”
■ [화보] 문-안 후보, 단일화 회동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