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댐 타당성 조사비용 상임위 통과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2017년께 완공
군 “농업 피해 관련 충분히 보상할 것”
주민들 “댐안개로 특산물 타격” 반발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2017년께 완공
군 “농업 피해 관련 충분히 보상할 것”
주민들 “댐안개로 특산물 타격” 반발
“댐이 건설되면 수몰민만 100가구를 넘고, 자욱한 안개 때문에 고추와 사과 농사는 아예 포기해야 할 겁니다.”
영양댐 건설 예정지인 경북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에 사는 조재영(49·농업)씨는 “높은 지대에 건설되는 영양댐은 영양군 전체 지역에 안개 피해를 끼쳐 지역 특산물인 담배·콩 농사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국토해양부가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도 아랑곳없이 영양댐 건설을 강행하고 있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는 8일 국토해양부가 제출한 영양댐 타당성 조사를 위한 내년도 예산 26억7000만원을 통과시켜 예산결산위원회로 넘겼다. 국토해양위 소속인 새누리당 강석호 의원(경북 영양·영덕·봉화·울진) 쪽은 “예결위도 타당성 조사 예산을 무난히 통과시킬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3139억원을 들여 영양군 수비면 송하리 검마산에서 흘러내리는 장파천 계곡을 막아 높이 76m, 길이 480m, 담수량 5700만㎥ 규모의 영양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올 연말 타당성 조사 예산이 국회 예결위에서 통과되면, 내년에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수립을 하고, 실시설계, 터 매입, 보상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2017년 완공할 계획이다. 영양댐 건설로 확보된 물은 임하댐과 영천댐을 거쳐 경산시내 산업단지로 전량 공급된다. 새마을 영양군지회 등 10여개 단체는 지난달 31일 영양댐 찬성 주민대책위를 결성해, 댐을 건설하려는 국토부와 영양군에 힘을 실어줬다.
영양군은 “영양댐이 생기면 해마다 되풀이되는 홍수를 막고 가뭄도 해결할 수 있다. 농업피해에 대해서는 충분한 보상을 하기 위해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영양댐 반대대책위원회는 “지난해 국회에서 삭감된 조사비용이 올해 왜 통과됐는지 이해할 수 없다. 민주통합당 등 야당의 도움을 얻어서라도 타당성 조사비의 국회 예결위 통과를 결사적으로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반대대책위는 “댐이 건설되면 농작물 피해 외에도 6개 마을 100여가구가 수몰민이 되면서 고향을 떠나야 한다. 100㎞ 가까이 떨어진 경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이런 피해를 감당하면서까지 영양에 댐을 건설해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이상철(61) 반대대책위 사무국장은 “영양에는 사향노루, 산양, 담비, 삵 등 멸종위기 동물이 많이 살고 있다. 댐을 건설하면 그동안 온전히 보존해온 자연생태계가 송두리째 파괴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도 영양군의회 의장은 “영양군 의원들이 찬반을 둘러싸고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 있어, 내년 초 의견을 조율해 군의회의 공식 입장을 정하겠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