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골목상인 56% “매출 변화”
의무휴업때 월평균 16% 올라
의무휴업때 월평균 16% 올라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의무휴업이 전북 전주시내 골목상권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전주시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의 ‘의무휴업에 따른 소비자 구매 변화와 유통업체 매출 변화 조사’를 보면, 대형유통점 의무휴업 실시 이후 전통시장과 동네 슈퍼마켓 등 중소점포 55.8%가 ‘매출 변화가 있었다’고 답변했다.
의무휴업 때 중소점포의 월 매출액은 평균 15.9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면적이 132㎡(40평) 이상인 점포가 21.6%의 매출 상승을 보이는 등 점포 면적이 클수록 매출 변화 폭이 컸다. 또 월 매출액이 3000만원 이상인 점포는 21.3%가 매출이 증가해 평소 매출액이 많으면 변화 폭이 컸다.
중소점포와 대형유통점 간의 떨어진 거리에 따른 매출 변화엔 큰 차이가 없었다. 의무휴업 때 대형점포와 거리가 500~1000m이면 매출이 13.5% 증가하고, 500m 미만이면 매출이 19.0% 늘어난 것으로 나왔다. 반면, 의무휴업 대상인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은 월 매출이 각각 10.25%, 16.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유통점 의무휴업일 때 응답자의 45.8%는 중소유통업체를 이용한다고 답했고, 나머지 54.2%는 쇼핑을 하지 않고 아예 구매를 포기한다고 답변했다. 중소유통점을 찾은 소비자의 63.8%는 동네 슈퍼마켓을, 20.3%는 향토 중형마트를 이용했다. 롯데백화점이나 농협 하나로마트를 찾은 소비자는 각각 2.9%와 4.3%에 그쳤다. 중소유통점에서 구입한 품목은 채소·과일이 71.0%로 가장 많았고, 육류·생선이 43.5%로 두번째였다. 이는 판매품목이 겹치는 것으로 대형유통점이 영업일수를 줄이면 중소유통업체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
최진원 전북전주슈퍼마켓협동조합 이사장은 “대형마트 규제가 늦어지는 사이 이미 전북지역 많은 납품업체가 문을 닫았다. 더욱이 대형마트가 소자본으로 창업할 수 있는 통닭·피자·안경점까지 장악하면서 지역상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주시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 유대근 위원장(우석대 교수)은 “의무휴업은 중소유통업체에 매출 증대효과를 가져와 소상공인의 보호에 도움이 되는 정책임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이달 5~10일 전주시 동별 인구비례로 표본을 할당한 소비자 307명, 전통시장·도심상가·동네 슈퍼마켓 등 중소점포 550곳, 대형마트·기업형슈퍼마켓·중형마트 등 38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이뤄졌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