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이전을 둘러싸고 분산 배치를 요구하는 경북도와 한 곳으로 집중 배치해야 한다는 공공기관의 견해가 팽팽히 맞서 공공기관 이전 작업이 늦춰질 전망이다.
한국도로공사 등 경북 이전이 확정된 13개 공공기관들은 “정부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혁신도시 한 곳을 건설한 뒤 공공기관을 집중배치해야 한다”고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기관들은 또 터 선정 등 주요 현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공동 보조를 취하기로 방침을 굳히고 곧 전체 직원들을 상대로 터 선정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벌여 의견을 모을 계획이다.
도로공사 은동진 이전지원팀장은 “경북으로 옮겨갈 공공기관들은 한결같이 혁신도시 한 곳을 만들어 집중배치하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다”며 “혁신도시를 건설해야만 우수한 교육환경과 의료·문화·여가 등 생활여건을 마련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경북도는 안동 등 북부 지역과 포항 등 동해안 지역, 김천, 구미, 상주 등 중서부 지역에 공공기관을 나눠서 배치해야 지역의 권역별 균형개발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낙후된 경북 지역을 발전시키려면 최소한 2곳 이상 분산 배치가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경북도와 공공기관의 견해가 팽팽히 맞서면서 이달 중순쯤 꾸려질 ‘입지선정 위원회’ 안에서도 적잖은 진통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혁신도시 건설 여부와 어느 지역에 혁신도시를 건설할지 등을 결정하는 입지 선정위원회는 경북도에서 10명을 추천하고, 공공기관 13곳에서 10명의 위원을 추천해 모두 20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도 관계자는 “공공기관과 경북도에서 각각 추천한 입지선정 위원들이 얼마나 타협을 이뤄낼 수 있을지 알 수 없지만 애초 계획대로 9월 말까지 혁신도시 터를 결정하기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구대선 기자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