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반기 부채만 9300만원
수익 대부분 국내 수탁사업 의존
내부보고서도 “청산 검토” 지적
지경부에 자회사 신고도 안해
수익 대부분 국내 수탁사업 의존
내부보고서도 “청산 검토” 지적
지경부에 자회사 신고도 안해
정부·지자체·대학 공동 산업기술단지인 경북테크노파크의 중국 자회사가 청산을 검토해야 할 만큼 재정난에 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한겨레>가 입수한 경북테크노파크의 지난해 8월 작성된 ‘자회사에 대한 해외출장 결과 내부 보고서’를 보면, 경북테크노파크는 2008년 4월 6400만원을 출자해 중국 베이징에 자회사 ‘북경경북기술서비스유한회사’를 세웠다. 지역 중소기업의 중국 수출 지원과 현지 업체와의 협력망 구축이 주업무로, 경북테크노파크가 파견한 직원 1명과 현지에서 채용한 중국인 4명 등 5명이 근무하고 있다.
하지만 북경경북기술서비스유한회사는 지난해 6월 기준 9300만원의 부채를 안고 있다. 부채에는 미지급 급여 344만원과 미지급 세금 81만원도 포함돼 있다. 게다가 이 회사는 중국에 있지만 2011년 전체 수익 2억7502만원의 52.1%를 경북테크노파크를 통해 올리는 등 수익의 대부분을 해외 기업이 아닌 국내 여러 테크노파크나 공공기관과의 수탁사업에서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북테크노파크는 테크노파크 설립 과정에 가장 많은 돈을 출연한 지식경제부에 자회사 설립에 대해 전혀 알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북테크노파크 정관에는 ‘수익사업을 할 경우 지식경제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이 때문에 보고서는 “중국 자회사는 지속적인 자금경색 문제가 발생해 사실상 자본잠식 상태이며, 청산을 포함해 장기적으로 경영정상화를 놓고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식경제부도 경북테크노파크의 정관 미준수 여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박창률 경북테크노파크 스타기업육성팀장은 “자회사는 수익 창출이 아닌 중소기업 해외 마케팅을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지식경제부의 승인을 받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자금사정도 지금은 나아지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지식경제부, 경북도, 경북 경산시와 영남대 등 지역 5개 대학은 1998년 8월 산학협력과 벤처산업 육성을 위해 576억원을 출연해 경북테크노파크를 만들었다. 지식경제부는 참여기관 가운데 가장 많은 255억원을 출연했다. 경북테크노파크는 이들 기관으로부터 출연금이나 보조금 형태로 돈을 받아 해마다 중소기업 300여곳에 150억원 정도를 지원하고 있다. 이사장은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이효수 영남대 총장이 함께 맡고 있다.
하지만 경북테크노파크에서는 지난달 26일 직원 2명이 연구비를 횡령하고 업체들로부터 금품을 뜯다 검찰에 기소되기도 했다. 감사원은 지난 16일부터 경북테크노파크를 감사하고 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