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아파트 등 고위험군 집중
생애주기별 특화…유족상담도
생애주기별 특화…유족상담도
서울시가 자살 위험이 높다고 진단된 시내 69개동, 영구임대아파트 10곳에서 통반장, 종교단체 회원 등 10만명을 자살 위험이 있는 이들과 밀착하도록 하는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하겠다고 3일 밝혔다. ▶관련기사 14면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방식을 뼈대로 한 자살예방 종합계획 ‘마음이음 1080’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한 영구임대아파트에서 100여일 동안 6명이 목숨을 끊는 등 서울에서 자살 문제가 심각해 대책 마련을 고민해왔다”고 말했다.(<한겨레> 2012년 8월28일치 1·4면)
시는 자살예방 사업 방향으로 △자치구 중심 지역밀착 △지역과 대상자 맞춤형 △대상자 중심의 포괄적 서비스 △민관통합형 협력체계 등을 제시했다.
먼저 25개 자치구 가운데 지속적으로 자살률이 높은 동네, 높은 연령층을 선정해 예방활동을 집중할 방침이다.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경찰·의료인단체·종교단체·사회복지사협회·민간 상담기관과 자살예방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해 통반장, 단체 회원 등 ‘정신건강 지킴이’ 10만명을 구성하고 자살 고위험군 대면 서비스를 펴기로 했다.
이들 지킴이 10만명은 복지 전문 공무원들과 함께, 자살을 시도했던 사람과 일대일로 밀착 대응해 2차 자살 시도를 막는 데 주력한다. 자살자 유족을 전담하는 상담팀을 가동하고, 청소년층·청장년층·노년층 등 생애주기별로 예방사업을 특화한다. 서울시는 2011년 2722명으로 집계된 서울시 자살자 수를 2020년엔 1361명으로 절반가량 낮추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서울시는 자살 원인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첫손에 꼽았지만, 사회안전망 강화 등은 이날 대책에서 빠져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안용민 자살예방협회 회장은 “구마다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실정에 맞게 자살 예방대책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자살률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정태우 기자 windage3@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중국 AI로 2명 숨져…‘제2사스 되나’ 공포
■ 개성공단 진입 통제…북 ‘최후 보루’ 빼들었다
■ “맞벌이가 죄인가요”
■ 프랑스, 낙태비용 전액 국가가 지원
■ 경마 애호가들의 논쟁이 영화를 만들었다?
■ 중국 AI로 2명 숨져…‘제2사스 되나’ 공포
■ 개성공단 진입 통제…북 ‘최후 보루’ 빼들었다
■ “맞벌이가 죄인가요”
■ 프랑스, 낙태비용 전액 국가가 지원
■ 경마 애호가들의 논쟁이 영화를 만들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