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대전시장·박성효 의원등
“실현 본보기 만들자” 잇단 주장
엑스포공원 활용 등 구체안 이견
시민단체선 중구난방 논의 비판
“실현 본보기 만들자” 잇단 주장
엑스포공원 활용 등 구체안 이견
시민단체선 중구난방 논의 비판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가 새 정부의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본보기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대덕특구가 과학기술 연구 시설과 인력 등 인프라가 구축돼 있고, 인근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현 대책은 주장이 엇갈려 논란이 일고 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3일 정례브리핑에서 “새 정부의 창조경제 성과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곳이 바로 대덕특구다. 대덕특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연계한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방안을 마련해 미래창조과학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염 시장은 △창조적 아이디어·상상력 발굴 △과학기술과 아이디어 접목 △창업 활성화 성장 및 지원 △창조경제 인프라 구축 △국방벤처산업 등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산업 집중 육성 등을 제시했다.
이에 앞서 박성효(58·새누리당·대전 대덕) 국회의원도 2일 미래창조과학단지 조성 방안 토론회를 열어 “대전의 여건은 과학기술 중심으로 경제 살리기에 나서고 있는 새 정부의 정책방향에 부합한다. 대전이 창조경제의 본산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병호 교수(배재대)도 “대전은 세계적인 대세인 과학·문화 융합시대를 앞서가고 있다. 창조과학 특구를 대전에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전이 창조경제의 중심에 서기 위한 실현 방안은 엇갈린다. 박성효 의원은 “엑스포과학공원을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만들자”고 주장했다. 엑스포과학공원에 기초과학연구원을 유치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기초과학 연구를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은 산하에 50개의 연구단이 설치되며 중이온가속기도 부설기관이다.
이에 대해 대전시 고위 관계자는 “대전이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기초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어 본보기가 될 것이라는 의견에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기초과학연구원 유치 제안은 추진중인 엑스포 재창조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창조경제의 실체가 모호하고 정치권이 엑스포과학공원 활용 방안을 중구난방으로 쏟아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광진 대전경실련 사무처장은 “창조경제의 실체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엑스포과학공원에 미래창조과학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엑스포과학공원이 과학을 테마로 하는 공원이라는 본래 취지는 생각하지 않고 잠재적인 개발 예정지로 보고 접근하는 것 같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중국 AI로 2명 숨져…‘제2사스 되나’ 공포
■ 개성공단 진입 통제…북 ‘최후 보루’ 빼들었다
■ “맞벌이가 죄인가요”
■ 프랑스, 낙태비용 전액 국가가 지원
■ 경마 애호가들의 논쟁이 영화를 만들었다?
■ 중국 AI로 2명 숨져…‘제2사스 되나’ 공포
■ 개성공단 진입 통제…북 ‘최후 보루’ 빼들었다
■ “맞벌이가 죄인가요”
■ 프랑스, 낙태비용 전액 국가가 지원
■ 경마 애호가들의 논쟁이 영화를 만들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