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기업에 팔기로…연간 47억 수익
의회 “업체 특혜·안전 사고 우려”
의회 “업체 특혜·안전 사고 우려”
전북 전주시 상림동 전주권 소각자원센터에서 발생하는 소각폐열(증기) 활용 방식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전주시는 수익을 위해 기업체에 소각폐열을 팔 방침이지만, 시의회가 특혜 및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전주시는 소각자원센터에서 1년에 생산되는 소각폐열 36만633t 가운데 23만5000t을 전주페이퍼 등 기업체 2곳에 판매할 방침이라고 15일 밝혔다. 시는 소각폐열 t당 2만원씩에 팔면 연간 47억원씩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상림동 소각자원센터에서 팔복동 산업단지까지 폐열을 이송할 8㎞의 지하관로 매설 및 유지관리 비용(350억원 추정)은 업체가 모두 부담하기로 했다. 그러나 시가 작성한 ‘소각폐열 판매 수익구조’ 자료를 보면, 기업체에 공급하는 소각폐열 판매금액은 t당 3만5229원이다. 시가 설명한 t당 2만원의 판매금액보다 1만5229원이 많다. 시가 차액(1만5229원)을 지하관로를 매설한 기업체가 다시 회수할 수 있도록 해준 것이다.
더욱이 200도의 초고압 증기를 8㎞ 떨어진 공단까지 공급하는 과정에서의 안전사고 발생 우려도 제기된다. 전주혁신도시를 지나는 도로 밑에 가스·통신 등의 시설과 함께 매설하는 지하관로는 이송 중 압력이 떨어져 500m마다 맨홀을 만들어 용수를 배출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수증기가 지상으로 나오면 사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형원 시 자원위생과장은 “소각폐열의 산업단지 공급은 공단협의회에서 요구해서 이뤄진 것으로 특혜가 아니다. 다른 자치단체에서도 폐열의 방열 차단을 위해 지하 1.8m 깊이에 이중관을 묻으면 안전성에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시는 소각폐열 36만633t 가운데, 8만3300t은 자체 난방·온수용 등으로 쓰고, 나머지 27만7333t은 전력 생산에 사용한다. 전력 생산(28억원) 중에서 9억원은 자체 전기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19억원은 한전에 팔아 수입을 올리고 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승연 회장 ‘징역 3년’ 실형 유지…봐주기는 없었다
■ 박원순 “재선 도전하면 민주당원으로 출마”
■ 민주 “윤진숙 장관임명하면 16일 청와대 만찬 안간다”
■ 버스노동자에 낫 휘두른 사장님
■ [화보] 전쟁 NO! 평화OK!!
■ 김승연 회장 ‘징역 3년’ 실형 유지…봐주기는 없었다
■ 박원순 “재선 도전하면 민주당원으로 출마”
■ 민주 “윤진숙 장관임명하면 16일 청와대 만찬 안간다”
■ 버스노동자에 낫 휘두른 사장님
■ [화보] 전쟁 NO! 평화OK!!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