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찰청 “철저히 수사”
연구원 전 간부 등 소환 임박
연구원 전 간부 등 소환 임박
각종 의혹과 비리 사건이 끊이지 않았던 한국패션산업연구원에 대해 경찰이 채용 및 입찰 비리와 횡령 등의 혐의를 잡고 수사에 들어갔다. 연구원 전 원장과 이사, 간부, 직원은 물론 대구시와 경북도 공무원, 섬유패션업계 대표 등이 줄줄이 경찰 조사를 받게 될 것으로 보여 파장이 예상된다.
대구경찰청 광역수사대는 22일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의 각종 비리 혐의에 대해 지난 14일부터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겨레> 취재 결과,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은 2010년 중순부터 약 2년 동안 장비구매 등과 관련해 모두 60차례 입찰 공고를 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 가운데 40% 정도가 유찰돼 수의계약으로 넘어갔다. 이 중 상당수는 법정 입찰 공고 기간(1차 7일, 2차 5일)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이런 수의계약 과정에서 리베이트가 오갔을 가능성을 놓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실제 연구원은 2011년 7월 대구시로부터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캐주얼 유니폼 제작을 의뢰받아 업체 선정에 나섰다. 하지만 공개입찰에 부치면서도 단 한시간 동안만 업체로부터 서류 제출을 받았고, 결국 수의계약을 통해 ㅍ산업이 선정됐다. 이 업체는 연구원 이사장이 운영하던 업체로 드러났다.
당시 이 업체의 제안금액이 1억3800만원이었는데, 낙찰금액은 1억3000만원에 육박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보통 수의계약을 하게 되면 제안금액의 70% 선에서 낙찰금액이 결정되는 게 일반적이다.
연구원 직원 부정채용도 수사 대상에 오르고 있다. 연구원은 지난 3년 동안 누리집에 30여차례나 채용공고를 냈다. 하지만 공고 기간이 닷새 이하인 것이 10여차례나 됐다. 사실상 미리 채용공고 사실을 알지 않는 한 지원 자체가 힘든 실정이다. 실제 2011년 7월 대구시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사무관) 딸이 연구원에 부당채용됐던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당시 연구원은 섬유패션 관련 학과 출신을 뽑는다고 공고해놓고는 정작 상경계열을 전공한 시 공무원 딸을 뽑았다. 채용공고는 단 닷새만 누리집에 걸려 있었다.
경북도 공무원(사무관) 출신이 명예퇴직한 뒤 연구원에 낙하산으로 부당채용됐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 공무원은 2010년 5월31일 명예퇴직했다. 앞서 연구원은 이전에 없던 전문위원 자리를 만들어 5월24일 채용공고를 냈다. 결국 이 공무원이 면접을 통해 전문위원으로 채용됐지만, 채용공고는 단 나흘 동안만 나갔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연구원 간부들의 법인 및 사업비 카드 부정사용 등을 포함해 다른 비리 정황도 포착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신동연 광역수사대장은 “현재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자료를 넘겨받아 분석하고 있다. 각종 의혹에 대해 철저히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은 패션봉제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패션센터와 한국봉제기술연구소를 통합해 2010년 4월 만들어졌다. 매년 150억원 정도의 예산을 사용하며, 이 가운데 일부는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죽인다”는 남편과 ‘협의’하라니…아내는 이혼소송중 살해됐다
■ 일본 기자들이 본 이대호는…승부사, 센스맨, 매너남
■ ‘일베’ 중독된 회원 만나보니…“‘김치X’라고 쓰면 기분이 풀린다”
■ 삼성-팬택 ‘적과의 동침’…‘스마트폰 삼국지’ 윈윈할까
■ [화보]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의 힘찬 비상
■ “죽인다”는 남편과 ‘협의’하라니…아내는 이혼소송중 살해됐다
■ 일본 기자들이 본 이대호는…승부사, 센스맨, 매너남
■ ‘일베’ 중독된 회원 만나보니…“‘김치X’라고 쓰면 기분이 풀린다”
■ 삼성-팬택 ‘적과의 동침’…‘스마트폰 삼국지’ 윈윈할까
■ [화보]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의 힘찬 비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