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수사착수 6일만에
압수수색도 없어 입방아
압수수색도 없어 입방아
채용 및 입찰 비리, 횡령 등의 혐의로 국민권익위원회 조사를 받았던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경찰 수사가 본격화되자 회계자료 등 각종 내부 문서를 대거 파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민권익위로부터 조사 자료까지 넘겨받은 경찰은 아직 연구원에 대한 압수수색조차 하지 않아 수사 의지에 의문이 일고 있다.
<한겨레> 취재 결과, 패션산업연구원은 지난달 20일 오후 문서 파쇄 업체를 불러 회계자료 등을 대거 파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14일 채용 및 입찰 비리와 횡령 등의 혐의로 경찰 수사가 시작된 지 6일 만이다. 또 김충환 제2대 신임 원장 취임을 이틀 앞둔 날이었다. 앞서 국민권익위는 올해 초 연구원에 대한 각종 비리 혐의를 조사한 뒤, 관련 자료를 경찰에 넘겨 수사를 의뢰했다.
경찰은 수사를 시작할 때 이미 패션산업연구원이 2010년 중순부터 약 2년 동안 장비 구매 등 모두 60차례 입찰 공고를 냈고, 이 가운데 40% 정도가 유찰돼 수의계약으로 넘어갔던 사실을 밝히는 자료를 확보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업체의 제안금액과 낙찰금액이 비슷한데다가, 법정 입찰공고 기간(1차 7일, 2차 5일)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패션산업연구원이 지난 3년 동안 누리집에 30여차례나 채용공고를 냈고, 대구시 간부 공무원 등이 일부 채용 과정에서 부당하게 개입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경찰은 아직 패션산업연구원에 대해 압수수색도 하지 않고, 이번주부터 본격적으로 직원들만 불러 조사를 벌이고 있다. 수사 초기 압수수색을 할 분위기가 강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연구원 안팎에서는 연구원 전 원장과 이사, 간부, 직원은 물론 대구시와 경북도 공무원, 섬유패션업계 대표 등이 광범위하게 걸려 있는 민감한 사건인 만큼, 경찰이 외압을 받은 것 아니냐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때문에 그동안 각종 의혹과 비리 사건이 끊이지 않았던 연구원에 대한 이번 경찰 수사도 결국 맥없이 끝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신동연 대구경찰청 광역수사대장은 “패션산업연구원이 파기한 문서는 수사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수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압수수색이 필요하다면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은 패션봉제산업 지원을 목적으로 한국패션센터와 한국봉제기술연구소를 통합해 2010년 4월 만들어졌다. 일부 예산을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지원받아 해마다 150억원 정도의 예산을 사용한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전두환 장남 ‘유령회사’ 아랍은행서 특별관리 왜?
■ 미셸-펑리위안 ‘퍼스트레이디 외교’ 불발 이유가…
■ ‘은밀하게 위대하게’ 36시간만에 100만 관객
■ 달인·수다맨…‘개콘’ 700회 왕년의 개그스타들 총출동
■ [화보] 조국을 위해 청춘을 바치신 당신을 추모합니다
■ 전두환 장남 ‘유령회사’ 아랍은행서 특별관리 왜?
■ 미셸-펑리위안 ‘퍼스트레이디 외교’ 불발 이유가…
■ ‘은밀하게 위대하게’ 36시간만에 100만 관객
■ 달인·수다맨…‘개콘’ 700회 왕년의 개그스타들 총출동
■ [화보] 조국을 위해 청춘을 바치신 당신을 추모합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