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미군 장갑차에 치여 숨진 신효순, 심미선 양의 11주기 추모행사가 13일 오전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사고현장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고인의 넋을 위로하며 종이 나비를 영정사진에 붙이고 있다. 양주/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미군에 희생된 효순·미선양 11주기
시민모금 추모비 세울 자리 안 내줘
시민모금 추모비 세울 자리 안 내줘
“이 넓은 땅에 시민 추모비 하나 세울 자리가 없다는 게 말이 됩니까?” 13일 오전, 미군 장갑차에 치여 숨진 신효순·심미선양의 11주기 추모제가 열린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56번 지방도 사고 현장. 참석자들은 시민 추모비를 만들고도 땅이 없어 세우지 못한 현실을 개탄했다.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평통사)과 ‘미선·효순 추모비 건립위원회’ 등 50여명은 추모제에서 지난해 시민 성금으로 만든 추모비 ‘소녀의 꿈’을 옮겨가 사고 현장에 세워줄 것을 거듭 요구했다. 2.4m 높이의 검은색 사각기둥 추모비에는 “푸르러 서글픈 유월의 언덕/ 애처로이 스러진 미선아, 효순아/ 손에 손 촛불 횃불로 타오를 때/ 너희 꿈 바람 실려 피어나리니”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사고 현장에는 주한미군이 2002년 세운 추모비만 있으며, 시민 추모비는 자리가 없어 서울 서대문구 기독교장로회 총회교육원에 임시로 세워뒀다. 박석분 평통사 교육팀장은 “이 추모비는 미군에 의해 희생된 모든 이들을 위로하는 상징물로, 평등한 한-미 관계를 이뤄 더는 미군에 의한 한국민의 억울한 희생이 없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다. 미군 당국과 지자체의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추모비 건립위원인 김경호 목사는 “미선·효순양 사건은 한·미 두 나라 사이의 잘못된 정책과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과 같은 사건이다. 추모비나 추모공원을 만드는 것으로 끝나지 말고 잘못된 한-미 관계를 바로잡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모제가 끝난 뒤 오후 3시부터 국회 의원회관에서 미군 범죄 현실을 짚고 불평등한 한-미 주둔군지위협정(소파)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을 찾는 토론회가 열렸다. 앞서 12일 오후 기독교장로회 총회교육원에서 열린 추모음악회에는 문동환 목사 등 100여명이 참석해 한반도 평화 실현 의지를 다졌다. 두 소녀는 중학교 2학년 때인 2002년 6월13일 인도가 없는 56번 지방도를 걸어가다 미군 장갑차에 치여 숨졌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나 밥 먹고 있으니까 기장한테 비행기 흔들지 말라고 해”
■ 박 대통령 ‘전두환 돈’ 6억 환원 촉구에 정 총리 발끈 왜?
■ 낸시랭, 변 같은 얘기 “안 할거예요”
■ 국정원의 ‘문재인이 대통령이 안 되는 이유’ 500만명에게 노출
■ [화보] 사진으로 보는 단오 풍경
■ “나 밥 먹고 있으니까 기장한테 비행기 흔들지 말라고 해”
■ 박 대통령 ‘전두환 돈’ 6억 환원 촉구에 정 총리 발끈 왜?
■ 낸시랭, 변 같은 얘기 “안 할거예요”
■ 국정원의 ‘문재인이 대통령이 안 되는 이유’ 500만명에게 노출
■ [화보] 사진으로 보는 단오 풍경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