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 예산·장소 제공 거부
주관쪽 “위원장 선출 감정대응”
주관쪽 “위원장 선출 감정대응”
조선시대 강원 행정의 중심지였던 원주시 강원감영(국가사적 439호)의 500여년 역사와 문화를 재현하는 ‘강원감영문화제’가 위기를 맞았다. 원주시는 예산(2억5000만원)뿐 아니라 축제 장소인 강원감영을 내놓을 수 없다는 태도이지만 강원감영문화제위원회는 규모를 줄여서라도 축제를 열겠다고 맞서고 있다.
㈔강원감영문화제위원회는 다음달 28일부터 30일까지 ‘2013강원감영문화제’를 연다고 26일 밝혔다. 조선시대 관찰사가 자기 관할 구역에 있는 각 고을을 방문하는 관찰사 순력 행사와 조선시대 4명의 왕후가 배출된 원주를 기리기 위한 왕비 간택 의식 등 4개 주요 프로그램 위주로 진행된다.
반쪽 축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해마다 10월에 열리던 축제는 7월로 당겨졌으며 축제 기간도 5일에서 3일로 줄었다. 더 큰 문제는 축제를 강원감영에서 치를 수 없다는 것이다. 원주시는 강원감영문화제위원회가 축제를 강행해도 장소를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 결국 강원감영문화제위원회 쪽은 관찰사 순력 행사를 명륜초등학교 앞에서 여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행사 자체가 시내 이곳저곳으로 흩어지게 됐다.
김재환 강원감영문화제위원장은 “원주시는 주관단체인 위원회와 사전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올해 행사를 쉬기로 결정하는 등 시에서 추천한 후보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지 않은 이후부터 감정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강릉단오제처럼 문화유산으로 등재를 준비하고 있는데 축제를 한해라도 멈출 경우 심사에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강구원 원주시청 관광기획담당은 “지난해에도 시의회에서 예산이 삭감됐다가 추경에 반영되는 등 시의회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축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시민 전체가 공감하는 행사로 거듭나기 위해 올 한해 쉬고 연구용역 등을 거쳐 획기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정원 사태 몸통은 박 대통령” 교수들도 ‘시국선언’
■ 의원직 걸겠다던 서상기·정문헌 대화록 공개되자...
■ 노무현은 남재준의 명예를 세워줬지만...두 사람의 ‘악연’
■ 국정원 '막장 댓글'엔 ‘김대중의 조국은 북한이다’까지...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 “국정원 사태 몸통은 박 대통령” 교수들도 ‘시국선언’
■ 의원직 걸겠다던 서상기·정문헌 대화록 공개되자...
■ 노무현은 남재준의 명예를 세워줬지만...두 사람의 ‘악연’
■ 국정원 '막장 댓글'엔 ‘김대중의 조국은 북한이다’까지...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