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부터 기획단 꾸려 준비
정당후보라도 본인 원할땐 선정
‘1만 유권자위원회’ 구성도 검토
정당후보라도 본인 원할땐 선정
‘1만 유권자위원회’ 구성도 검토
경기 고양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독자적인 시민후보를 내기로 해 눈길을 끌고 있다.
고양시민회, 고양파주여성민우회 등 고양지역 3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고양시민사회연대회의(연대회의)는 최근 대표자회의를 열어 내년 선거에서 ‘시민후보’를 따로 내기로 결정했다고 27일 밝혔다. 2010년 선거의 야권연대 당선자들이 금정굴 평화공원 조성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하기에 이를 직접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들은 설명했다.
시민단체들은 그동안 지방선거에서 정당이 공천한 후보를 공개 지지하는 방식을 택했으나, 내년 선거에서는 가능한 한 많은 시민후보를 낼 계획이다. 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인 김민문정 고양파주여성민우회 대표는 “정당보다 더 강한 조직력을 만들어, 선언적 의미가 아닌 당선을 위한 시민후보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연대회의는 이를 위해 지난 3월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려 정당공천제 토론회 등을 진행해왔다. 이들은 ‘기초단위 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을 없애자’는 것이 기본 입장이지만, 정당 후보라도 본인이 원하면 심사를 거쳐 시민후보로 선정할 방침이다. 이재정 연대회의 사무국장은 “정당공천제와 현 정당구조가 내년까지 유지될지 유동적이지만 일단 준비를 시작하려 한다”고 했다.
연대회의는 지역의제 발굴과 이를 실현할 시민후보 발굴 및 선출, 기존 시의원 평가 작업을 3대 추진과제로 정하고, 다음달 말까지 의정평가 지표를 만들고 유권자 의정평가단을 꾸려 고양시의회 개혁운동을 본격적으로 펼쳐나가기로 했다.
이 국장은 “밑에서부터 선거 분위기를 만들어가도록 무지개연대가 시도했던 1만인유권자위원회를 꾸리는 방안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 ‘좋은 정치 실현을 위한 고양무지개연대’를 만들어 전국 최초로 지역 차원의 야권연대를 일궈낸 바 있다. 시민단체와 정당의 선거연대를 실현한 것이다.
이에 대해 김윤숙 시의원(진보정의당)은 “정당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상황에서 해볼 만한 시도라고 보지만, 후보를 내기에 앞서 자신들이 야권연대로 추천한 후보에 대해 시민단체는 어떤 책임을 졌는지 묻고 싶다. 또 시민단체가 정당 구실까지 하면 비판·감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도 걱정”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새누리 “어제 대표님 발언 유출자는 김재원 의원” 카메라에 딱 걸려
■ 궁지 몰린 새누리 “나라 팔아먹을…” “마누라가 빨갱이라…” 막말
■ 김무성 의원, 국정원 대화록 ‘천기누설’ 도대체 왜?
■ 여왕의 교실, 개똥철학 마녀교사의 교육실험 ‘호러물’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 [단독] 새누리 “어제 대표님 발언 유출자는 김재원 의원” 카메라에 딱 걸려
■ 궁지 몰린 새누리 “나라 팔아먹을…” “마누라가 빨갱이라…” 막말
■ 김무성 의원, 국정원 대화록 ‘천기누설’ 도대체 왜?
■ 여왕의 교실, 개똥철학 마녀교사의 교육실험 ‘호러물’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